의사 부족으로 인한 병원․기관 운영상의 문제점. 보건의료노조 제공의정 갈등 여파로 병원 현장에선 의사 부족이 현실화되며 간호사 등 진료지원(PA)인력이 의사 업무까지 떠안는 실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동의서 대리 서명부터 시술·처방, 불만 상담까지 대체가 이뤄지는 가운데, 의료사고 위험이 커졌다는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16일 공개한 '2025 보건의료노동자 정기 실태조사' 1차 결과에서 전체 응답자 4만4903명 중 81.4%가 "의사 인력이 부족하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매우 부족하다'는 응답은 2023년보다 14.9%포인트 증가한 40.3%로, 의정 갈등 이후 상황이 급격히 악화됐음을 보여준다.
의사 부족에 따른 가장 큰 문제로는 '업무가 간호사 등 진료지원인력에게 전가된다'는 응답이 91.3%로 가장 많았다.
실제로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9.2%는 의사를 대신해 환자 항의를 직접 들었다고 답했다. 처방(35.5%), 시술 및 드레싱(39.2%), 환자 면담 및 상담(49.2%) 등 의사 고유 업무를 대체한 경우도 다수였다.
의료사고 위험을 자주 느낀다는 응답도 29.5%에 달했다. 진료과 운영 차질, 수술 연기, 응급 대응 실패 등으로 환자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는 것이다.
진료지원업무 담당자의 비중은 전체 보건의료 종사자의 10.4%, 간호사의 경우 14.4%로 조사됐다. 특히 전공의 사태 이후 배치된 인력 중 저연차(2년 이하)가 23.2%에 달해 경험 부족 상태에서 곧바로 현장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지원업무 담당자 중 43.9%는 관련 교육을 받지 못했고, 받은 이들 중 절반 가까이는 8시간 이하의 단기 교육만 이수했다. 전공의 대규모 사직 이후 투입된 인력 중 83.6%는 병원 자체 교육만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교육 시간이 충분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원내 교육만 받은 경우 46.8%에 그친 반면, 간호협회와 병원 교육을 모두 받은 경우 78.5%에 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의료공백의 원인인 의정갈등의 조속한 해결과 업무범위의 명확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며 "보건의료인력 간 불명확한 업무범위를 명확화하기 위한 보건의료인력 업무조정위원회를 신설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