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제공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관세 부과 시점으로 예고한 다음달 1일(현지시간) 전 한미 간 무역협상을 타결하기 위해 미국 협상단과 접촉면 마련에 주력하고 있는 정부가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정부 소식통 등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영국 스코틀랜드를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을 수행 중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협상을 벌이기 위해 유럽을 찾은 후 다시 미국으로 몸을 옮긴 것으로 정해졌다.
앞서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지난 24일과 25일 러트닉 장관을 만나 2차례 협상을 했다. 24일에는 워싱턴DC에서 만났고, 25일에는 그의 뉴욕 자택까지 찾아가 협상을 이어갔다.
러트닉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을 수행하기 위해 스코틀랜드로 떠난다는 것을 파악한 뒤 김 장관 등은 급박하게 스코틀랜드행 비행기에 몸을 싣기도 했다.
러트닉 장관은 28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한국인들이 저녁 식사 후 나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기 위해 스코틀랜드로 비행기를 타고 왔다"고 전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연합뉴스이후 러트닉 장관이 다시 미국으로 복귀하자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추가 협상을 위해 워싱턴DC로 이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무역협상에서 미국 측 핵심 인사 중 한 명인 러트닉 장관의 동선에 맞춰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이 스코틀랜드에서 러트닉 장관과 그리어 대표를 만나 추가 협상이 이뤄졌다면 얼마나 이견을 좁혔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한미 산업장관은 이르면 오는 29일 워싱턴DC에서 다시 만나 협상 타결을 도모할 것으로 알려졌다.
회동이 성사될 경우 김 장관은 지난 23일 출국 이후 러트닉 장관과 4번째 협상에 나서게 되는데 한국 측의 진전된 수정 제안을 미국 측이 수용할지 관심이 쏠린다.
앞서 김 장관은 지난 25일 러트닉 장관의 뉴욕 자택에서 진행된 협상에서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뜻의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라고 이름 붙인 수십조원 규모의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장관과 여 본부장 외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조현 외교부 장관도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하루 전인 오는 31일 각각 베선트 재무장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등 카운터파트를 만나 미국과의 무역협상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이 끝나기 전까지 러트닉 장관과 그리어 USTR 대표를 최대한 많이 만나 양측 간 이견을 절충하는 협상을 이어갈 방침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