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0원 소금빵 팝업 논란…자영업자들 "빵 가격 기준 되면 안돼"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베이커리 팝업스토어' 저렴한 가격으로 인산인해
팝업 이벤트의 저렴한 가격, 정상 가격으로 오해
"여기는 왜 이리 비싸냐" 비난에 자영업자 울상

ETF베이커리 팝업스토어에 시민들이 줄을 선 모습. 연합뉴스ETF베이커리 팝업스토어에 시민들이 줄을 선 모습. 연합뉴스
구독자 360만 명을 보유한 유명 경제 유튜버 슈카월드(본명 전석재)가 자신의 팝업 스토어에서 소금빵을 990원에 판매하는 등 저렴한 가격으로 빵을 선보이며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벤트성 가격이 정상적인 가격으로 인식되면서 자영업자들에게 불똥이 튀었다. 일부 네티즌들도 "이벤트성 팝업의 빵 가격을 전체 빵 값의 기준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난 30일 유명 경제 유튜버 슈카월드는 성동구 성수동에서 공간 설계 업체 글로우서울과 협업한 베이커리 팝업스토어 'ETF 베이커리'를 열었다. 저렴한 빵으로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의 가격 변화를 시도해 보고자 기획된 'ETF 베이커리'는 총 35종의 빵과 케이크를 시중가 대비 저렴하게 판매했다. 소금빵, 베이글, 바게트는 990원, 식빵은 1990원, 명란바게트 2450원, 단팥빵 2930원, 복숭아 케이크는 1만 8900원에 제공됐다.

저렴한 가격으로 팝업 스토어 현장에는 약 700명의 소비자가 몰리며 한 시간 반 이상 줄을 서야 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슈카월드의 빵을 맛본 네티즌들은 "복숭아 케이크의 과육과 크림 조화가 좋다", "한 시간 기다렸는데 빵 맛이 괜찮았다"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팝업스토어 빵 가격에 대한 네티즌 반응. 네이트판 캡처팝업스토어 빵 가격에 대한 네티즌 반응. 네이트판 캡처그러나 일부에서는 팝업 스토어의 일시적인 빵 가격이 전체적인 시장 기준처럼 받아들여지면 안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자영업자들은 "소금빵 원가가 1000원이 넘는데 990원 판매는 불가능하다"며 "단기 프로젝트로 빵 가격을 낮추면 소비자들이 기존 빵집들은 폭리를 취한다고 오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 자영 제과점 관계자는 "새벽 4시 반부터 일어나 작업해도 손님이 '유튜버는 싸게 파는데 여기는 왜 이리 비싸냐'고 묻는데 허무하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팝업스토어 빵 가격에 대한 네티즌 반응. 보배드림 캡처팝업스토어 빵 가격에 대한 네티즌 반응. 보배드림 캡처

온라인 네티즌들 역시 "요즘 빵 값이 비싸진 건 사실이지만, 유명인이 일시적으로 싸게 파는 가격을 기존 빵집과 비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한 네티즌은 "가성비로 유명한 대전 빵집도 조금 저렴할 뿐인데, 저렇게 유명한 사람이 싸게 판매하면 폐기가 없어 손해가 나지 않는 것"이라며 "저 가격으로 3년간 유지하며 손해 없이 운영할 수 있다면 인정이다"고 말했다.

이어 또 다른 네티즌은 "수제 빵은 폐기율, 인건비, 카드 수수료, 고정비 등 여러 요소 때문에 일시 팝업처럼 저렴하게 판매할 수 없다"며 "팝업 이벤트가 소비자의 기준으로 받아들여지면 장기적으로 시장 가격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네티즌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자 슈카월드는 지난달 31일 자신의 라이브 방송을 통해 사과했다. 그는 "싼 빵을 만들면 좋아할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다. 죄송하다"며 "자영업자를 비난한 적은 없다. 나도 자영업자다. 높아진 빵 값의 구조적 문제를 이야기하려던 것인데 다른 방향으로 해석돼 안타깝다"고 밝혔다.

온라인상에서는 슈카월드가 매출, 임대료, 인건비, 재료비 등을 투명하게 공개해 논란을 줄이자는 의견도 이어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식당을 운영하는 한 예능프로그램처럼 수익 구조와 비용을 공개하면 소비자들의 오해가 줄 것"이라고 제안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