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제조업체 70% 미 관세정책으로 수출 감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미국 관세 인상에 따른 對미 수출 실적 변화. 대구 상공회의소 제공미국 관세 인상에 따른 對미 수출 실적 변화. 대구 상공회의소 제공
대구지역 제조 기업 10곳 중 7곳이 미국 관세정책의 영향으로 수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상공회의소가 대구지역 제조기업 302곳을 대상으로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 176곳의 70.4%가 미 관세 인상 이후 대미 수출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감소했다고 응답한 기업 가운데 '10% 이상 20% 미만 줄었다'는 기업이 21.1%로 가장 많았고, '20% 이상 감소했다'는 기업도 16.9%에 달했다.

반면 '증가했다'고 답한 기업은 없었다.

응답 기업의 4곳 중 3곳은 미국 관세 정책으로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 직수출을 하거나 현지 법인 운영 등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은 전체의 26.7%를 차지했고,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 또는 원자재를 납품하며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은 46.6%에 달했다.

한·미 관세협상 타결에 따른 상호관세 15%(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 50%) 부과로 응답기업의 77.2%는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 중 '5% 이상 10% 미만 감소'를 예상한 기업이 25%로 가장 많았다.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도 21.0%를 차지했으나,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한 기업은 1.8%에 불과했다.
 
미국 관세정책으로 인해 가장 크게 우려되는 사항으로는'가격 경쟁력 약화로 인한 판매 감소'가 52.2%로 가장 많았고, '고객사의 미국 이전 및 수입선 다변화 등으로 납품 물량 감소'가 25.6%,'원부자재 공급망 재편으로 인한 조달 비용 상승'이 20.4%로 뒤를 이었다.
 
고객사의 생산기지 미국 이전에 대한 대응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47.7%가 별다른 대응 전략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대체 공급선 발굴'과 '납품 단가 조정'을 응답한 기업도 각각 30.7%와 15.3%를 차지한 반면, 고객사와 함께 미국에 생산기지 이전(또는 신설)하겠다는 기업은 4%에 그쳤다.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복수응답 2개까지)으로는 45.5%가 '특별한 전략 없이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어서 '원가 절감 노력' 43.2%, '공급선 다변화 및 원부자재 대체 조달' 30.7%, '대체 시장 발굴' 22.7% 등이었다.

미국 관세와 관련하여 정부에 바라는 지원정책(복수응답 2개까지)으로 '금융지원'이 55.7%로 가장 많았고 '대체 시장 개척 지원'과 '품목(HS code)별 관세 정보 제공'이라는 응답도 각각 50.6%와 32.4%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보면 올해 1월부터 7월 누계기준 대구의 대미 수출액은 11억 935만불로 1년 전보다 12.3% 감소했고 특히 지역 주력업종인 자동차부품의 경우 같은 기간 4.3% 줄었다.
 
대구상의 이상길 상근부회장은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상호관세가 15%로 결정되면서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은 해소되었지만, 여전히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지역 수출기업들은 대응 전략 마련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전문가 컨설팅을 비롯해서 수출금융 지원 확대 등 전방위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