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높은 물가·수도권 집값 상승에 가계부담↑"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높은 물가·부동산 양극화, 통화정책만으로 대응 어려워"
"유통구조 개선·공급여력 확충 등 구조개혁 필요"

연합뉴스연합뉴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물가와 최근 지속되고 있는 수도권 집값 상승이 가계의 큰 부담요인으로 지목됐다.
 
다만 올해 하반기에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대 후반에서 안정될 것으로 한국은행은 전망했다.
 
한은은 18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올해 하반기 소비자물가·근원물가(에너지·식료품 제외) 상승률은 모두 1%대 후반 수준에서 안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동 지역 지정학적 갈등 고조에 따른 국제 유가 상승이 물가 상방 요인으로 부각된 점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고, 물가 전망경로 상 미국 관세정책의 전개 양상, 내수 회복 속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취약계층 등의 체감 물가는 물가 상승률이 크게 오르지 않아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기를 거치면서 높아진 물가 수준이 가계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농축수산물 가격이 큰 변동성을 보여온 데다가, 최근 가공식품 등 필수재 가격도 인상되면서 취약계층의 체감물가가 높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수도권 집값 상승에 따른 주택시장 양극화도 수도권 가계의 주거비 부담을 키운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은은 "물가수준, 부동산 시장 양극화 등의 문제는 구조적 성격이 커 통화정책만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만큼 유통구조 개선, 공급 여력 확충 등 구조개혁을 통해 근본적인 물가안정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