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천 상류층 일대 모습. 독자 제공전주시가 전주천 상류 주변 갈대를 베어 낸 가운데 전북 지역 환경 단체가 이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28일 성명을 내고 "전주시가 지난 27일 전주천 상류 주변 갈대를 모조리 베어냈다"며 "멸종위기종의 서식지를 훼손하는 구시대적 하천 관리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지난 27일 시는 유해식물 해충을 제거한다는 등을 이유로 재차 전주천 상류 주변 일대 식물을 제거했다.
전주시 전주천 상류 인근으로 모래톱과 자갈톱 등이 형성돼 천연기념물인 수달과 원앙, 황조롱이, 삵 등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곳이다.
단체는 "지금 시기에 집중해서 제거해야 하는 교란 식물은 상류가 아닌 중하류에 서식하는 가시박이다"며 "지금처럼 획일적인 수변 식생 제거는 식물의 생태적 특성과 기능을 무시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수변 식생은 단순한 잡초가 아니라 하천 생태계를 구성하는 필수적 요소다"며 "전주시는 이러한 생태적 가치와 기능을 간과한 채 단편적인 민원 해결을 명분 삼아 무차별적인 제초 작업을 강행했다"고 주장했다.
전주시는 지난 5월에도 이곳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남천교 인근 전주천의 물억새 등을 베어내다가 시민 항의로 작업을 중단한 바 있다.
당시 시는 전주생태하천협의회와 논의 끝에 산책로 주변 1.5m 정도만 풀을 베어낸 후 야생동물 서식지 보호 등을 위해 최소한의 벌초만를 진행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