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최현호 진수 3일만에 시험사격…김정은 "해군 핵무장화 가속"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최현호 첫 무기체계 시험 28일과 29일 실시
"초음속순항·전략순항·반항공미사일·127㎜포 사격"
"강력한 공격능력 전제하는 공세적 방어체계 수립"
진수기념식 이어 시험사격도 참관한 '주애'

북한 신형 '다목적구축함' 최현호(號) 시험사격. 연합뉴스북한 신형 '다목적구축함' 최현호(號) 시험사격. 연합뉴스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관 속에 5천톤급 다목적구축함 최현호에 탑재된 무장체계들의 첫 사격시험을 실시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해군의 핵무장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책임적인 선택을 할 때가 됐다"며 북한 해군의 핵무장화에 속도를 낼 것을 지시했다. 
 
북한의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0일 "미사일총국과 국방과학원, 탐지전자전총국은 구축함 최현호에 탑재된 무장체계들의 성능 및 전투적용성 시험에 착수"했다며 "구축함의 첫 무기체계시험이 4월 28일과 29일에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지난 25일 조선인민혁명군 창건기념을 맞아 최현호의 진수기념식을 가진 뒤 사흘 만에 신속히 첫 무기체계 시험을 한 것이다. 
 
먼저 28일에는 "초음속 순항미사일과 전략순항미사일, 반항공미사일들의 시험발사와 127㎜ 함상 자동포 시험사격이 진행"됐다. 
 
김 위원장이 구축함을 방문해 "무기체계 심의그룹성원들로부터 함 무장체계들의 시험단계별 일정과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요해하고 첫 시험발사를 지켜"봤으며 "지도간부들은 127㎜함상 자동포의 위력에 깊은 관심을 표시"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신형 '다목적구축함' 최현호(號) 진수 사흘 만에 진행된 첫 무장 시험사격을 참관하고 '해군의 핵무장화'에 속도를 내라고 지시했다. 연합뉴스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신형 '다목적구축함' 최현호(號) 진수 사흘 만에 진행된 첫 무장 시험사격을 참관하고 '해군의 핵무장화'에 속도를 내라고 지시했다. 연합뉴스 
김 위원장은 "함의 무장체계들을 빠른 기간 내에 통합 운영할 수 있게 완성"할 것을 강조하며 "영해에 침입하는 적이나 격퇴하는 기존 사명의 구축함은 믿음직한 해상방어수단이라고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강력한 공격능력을 전제로 하는 주동적이며 공세적인 방어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고, "새 세대 고도기술을 도입한 공격 및 방어형 복합체계들의 장비수준을 부단히 높여 함의 다용도, 다목적화를 더 높은 수준에서 실현하는 것"이 "중대한 과제"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현존위협과 전망적인 위협으로부터의 국가방위와 해양주권수호를 위하여 해군의 핵무장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책임적인 선택을 할 때가 됐다"면서 "그를 위한 제반 과업들을 제시"했다고 했다.
 
이어 29일에는 "함대함 전술유도무기와 각종 함상자동기관포들, 연막 및 전자장애포들의 시험사격이 진행"된 것으로 보도됐다. 
 
신문에는 최현호에서 각종 미사일을 발사하고 함상의 포를 쏘는 다수의 사진이 게재됐다. 
 
김 위원장의 딸 '주애'가 지난 25일 진수기념식에 이어 이번 시험사격도 참관했으며 아버지와 어깨를 맞대고 다정하게 걷는 모습 등을 연출했다.
 
김 위원장은 아울러 최현호 건조에 공헌한 남포조선소 노동자들과 함선공업부문 과학자·기술자들을 만나 격려하고, 최현호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기도 했다. 
 
위상 배열레이더와 각종 미사일 등을 탑재한 최현호는 '북한판 이지스구축함'으로 평가된다. 김 위원장은 진수기념식 연설에서 최현호를 북한 해군력 강화의 "신호탄"이라고 평가하고 "두 번째 신호탄은 바로 핵동력잠수함 건조사업"이라고 밝힌 바 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