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홍명희 광명시 경제문화국장이 기자회견을 열어 광명시 민생안정지원금 경제효과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박창주 기자12·3 내란 사태에 직격탄을 맞은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해 지급했던 경기 광명시 '민생안정지원금'의 파급효과가 예산 규모의 10배에 달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1일 홍명희 광명시 경제문화국장은 기자회견을 열어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석에서 257억 원의 광명시 민생안정지원금이 2044억 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소비 지출이 연관 산업과 지역에 파급되는 경로를 정밀 분석하는 사회계정행렬(SAM) 모형을 기준으로, 해당 민생안정지원금이 소비 확대와 산업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취지다.
경기도 내 경제효과는 694억 원으로, 도소매와 상품중개서비스 등 32개 산업 분야에서 573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가계소득은 105억 원, 지방세수는 15억 원 정도 늘었다.
경기 외 지역에서는 1350억 원의 경제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은 서비스업, 인천이 물류 기반 산업, 기타 지방에서는 제조업 중심으로 활성화에 도움이 됐다는 분석이다.
또한 시는 도소매업과 음식업, 서비스업 등에서 500명가량의 취업유발 효과를 낸 부분도 강조했다.
시는 광명에서 발생한 소비 증가분이 여러 산업 분야에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전국에 확산한 것으로 판단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시그니처 정책 수단인 지역화폐로 지급된 민생안정지원금의 성공 사례로서 의미가 크다"며 "이번 경험을 토대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지속가능한 경제체계' 구축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