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MBK파트너스 제공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최근 비공개로 국회를 찾아 홈플러스 경영 정상화를 위한 '1조원 이상 사재 출연' 요청에 대해 거부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파악됐다.
19일 정계 등에 따르면 김 회장은 지난 13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일부 의원들과 비공개 면담에서 홈플러스 경영 정상화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회장은 MBK가 보유한 홈플러스 보통주 2조5천억 원 전량을 무상으로 소각해 회사 인수합병(M&A)을 돕겠다는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정계에서 요구한 '1조 원 이상의 사재 출연'에 대해서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 새 인수자를 찾지 못할 경우 회사를 청산하지 않고 채권자와 자체 회생 절차를 밟도록 노력하겠다고 입장을 전했다.
업계에서는 홈플러스 채무를 비롯해 총체적인 부실 경영난을 해소하기 위해선 약 1조 7천억 원 규모의 추가 자금이 투입돼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계와 노동계에서는 MBK와 김 회장이 경영 부실에 대한 책임을 지고 1조 원대 자금을 투자하라고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희생 기업 지분의 가치가 급락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MBK가 보유한 홈플러스 보통주를 소각하는 것은 '통 큰 희생'이 아니라는는 주장이 나오는 한편, 도의적 책임으로 대규모 사재 출연을 요구하는 것은 한국 자본시장의 건전성을 훼손한다는 주장도 있어 입장이 분분한 상황이다.
홈플러스는 보유 부동산 등 자산 가치는 높지만 최근 영업 실적이 좋지 않아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더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MBK와 홈플러스는 청산을 피하고 경영을 이어가기 위해, 기존 주주가 빠지고 새 투자자가 주인이 되는 '인가 전 M&A' 절차를 선택했다.
인가 전 M&A는 이전 대주주의 지분을 소각하고 신주를 발행해 새 인수자에게 파는 형태로 진행되며, 인수자의 대금은 홈플러스 경영 정상화에 쓸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