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찾은 김병주 MBK 회장 "1조 원 사재출연 못해"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MBK 보유 홈플러스 주식 소각 입장 견지
업계 "주식 소각은 큰 희생 아냐" vs "사재출연이 도의적 책임?"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MBK파트너스 제공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MBK파트너스 제공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최근 비공개로 국회를 찾아 홈플러스 경영 정상화를 위한 '1조원 이상 사재 출연' 요청에 대해 거부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파악됐다.

19일 정계 등에 따르면 김 회장은 지난 13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일부 의원들과 비공개 면담에서 홈플러스 경영 정상화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회장은 MBK가 보유한 홈플러스 보통주 2조5천억 원 전량을 무상으로 소각해 회사 인수합병(M&A)을 돕겠다는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정계에서 요구한 '1조 원 이상의 사재 출연'에 대해서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 새 인수자를 찾지 못할 경우 회사를 청산하지 않고 채권자와 자체 회생 절차를 밟도록 노력하겠다고 입장을 전했다.

업계에서는 홈플러스 채무를 비롯해 총체적인 부실 경영난을 해소하기 위해선 약 1조 7천억 원 규모의 추가 자금이 투입돼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계와 노동계에서는 MBK와 김 회장이 경영 부실에 대한 책임을 지고 1조 원대 자금을 투자하라고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희생 기업 지분의 가치가 급락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MBK가 보유한 홈플러스 보통주를 소각하는 것은 '통 큰 희생'이 아니라는는 주장이 나오는 한편, 도의적 책임으로 대규모 사재 출연을 요구하는 것은 한국 자본시장의 건전성을 훼손한다는 주장도 있어 입장이 분분한 상황이다.

홈플러스는 보유 부동산 등 자산 가치는 높지만 최근 영업 실적이 좋지 않아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더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MBK와 홈플러스는 청산을 피하고 경영을 이어가기 위해, 기존 주주가 빠지고 새 투자자가 주인이 되는 '인가 전 M&A' 절차를 선택했다.

인가 전 M&A는 이전 대주주의 지분을 소각하고 신주를 발행해 새 인수자에게 파는 형태로 진행되며, 인수자의 대금은 홈플러스 경영 정상화에 쓸 수 있게 된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