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피해를 남긴 경북 산불이 진화된 지 80여 일이 지났다. 화마에 집과 삶의 터전을 잃은 데다, 65세 이상 인구가 약 48%에 달해 지역소멸 위기까지 겪고 있는 의성 주민들은 지역을 살리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산불피해를 입은 경북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마을. 구계리 주민대책위원회 제공18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주민 상당수는 현재 정부와 경상북도가 준비한 60여 채의 임시주택에 거주하며 생활하고 있다.
지난 3월 22일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에서 시작한 산불이 나흘 만에 구계리 마을을 덮쳐 전체 161가구 중 62%에 해당하는 100가구가 피해를 입었다. 주택 66채가 전소되고 7채가 반파되거나 그을리는 등 마을 대부분이 화마에 휩싸였다.
농기계가 불에 타고 경작지도 피해를 입은 탓에 주민들은 생계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민들은 그동안 마늘밭을 힘껏 일궈놨지만 화마의 영향으로 마늘 생육이 부진해 제값을 못 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인구 4만 8천여 명 중 65세 이상 인구가 약 48%로 지역소멸 위기 지역인 의성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화마 피해까지 입으면서 이중고에 처했다.
비록 삶의 터전이 망가졌지만 주민들은 희망을 놓지 않고 있다.
주민들은 지난달 28일 구계리 주민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산불재난 복구와 마을 재건, 고령화로 인한 지역소멸, 복지 공백 등 문제에 대한 대책을 찾기 시작했다.
대책위 김수일 사무국장은 "모든 걸 관에서 다 해주기를 바라기보다 주민들 스스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사업을 찾기 위해 주민들이 직접 대책위를 구성했다"고 말했다.
17일 구계리 주민대책위원회가 의성군 단촌면 최치원문학관에서 마을 현안에 대한 주민 토론회를 개최했다. 구계리 주민대책위 제공대책위는 지난 17일 오후 의성군 단촌면 최치원문학관에서 산불재난 피해 복구 상황 등 마을 현안에 대한 주민 토론회도 개최했다.
토론회에는 40여 명의 주민들이 참석해 산불피해 복구 진행 상황에 대한 의성군 관계자의 설명을 경청하고 주민복지 향상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을 논의했다.
의성군 관계자는 "120억 원 정도 되는 복구비가 진행 중에 있으며 행안부와 기재부가 협의하고 있다. 경상북도에서도 7월이 되면 산불피해 복구 관련 전담 조직을 구성해 지속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경북도청 인근에 모듈 주택 단지 모델 하우스도 만들고 있는데, 어느 정도 구체화 되면 함께 보러 가는 계획을 수립해 다 같이 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덧붙였다.
구계리 주민대책위 김수일 사무국장은 농·수산물 가공과 직거래 판매, 마을 카페와 식당 운영 등 마을공동체 수익 사업을 설명하며 주민복지를 위한 재원을 주민들이 스스로 마련하자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향후 마을 재건 우수 사례 선진지 견학, 세미나와 토론회 개최 등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