볕에 그을린 얼굴엔 늘 기미가 앉아 있다. 면바지와 운동화는 흙때가 끼어 누렇다. 피곤한 얼굴을 주름진 미소로 덮고, 시계바늘처럼 매일 아침 7시에 나서는 남편(42)은 영락없는 농사꾼이다. 남편은 14년 동안 사과나무와 농군들의 버팀목이 돼온 농촌진흥청(농진청) 대구사과연구소 6급 연구사다.
한 달에 열흘은 다른 지역으로 달려간다. 대한민국 어느 땅이든 농군들이 필요하다고 호출하면 강의든, 일대일 교육이든, 병든 나무 치료든 마다하지 않는다. 밤 10시에 퇴근하고도 새벽까지 벌겋게 충혈된 눈으로 강의 준비를 한다."많이 배우지 못한 농민들이라 해도 강의가 끝나면 늘 부족했던 것 같아. 제대로 준비해야 그분들께 죄송하지 않거든…."
반강제로 박사학위도 따야했다. 졸린 눈을 비비며 수업과 논문을 준비해 2005년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수천만원의 학비를 쓰는 바람에 지난해 2월에야 아파트를 분양받아 보금자리를 꾸릴 수 있었다. 그것도 9년 동안 대학에서 시간강사를 하며 함께 생계를 꾸려준 아내 박미숙(38)씨가 있기에 가능했다. 하지만 남편은 ''땅의 아들''로 사는 삶을 후회한 적이 없다.
1
지난달 16일, 청천벽력이 떨어졌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농진청을 폐지하고 산하 연구소는 출연연구기관으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 남편은 그날부터 축 처진 어깨로 매일 인수위 홈페이지에 들어가 행여나 결정이 번복되진 않을까 살펴본다.
출연연구기관에서 일할 수 있으니 다행아니냐고 했더니 남편은 "나는 괜찮지만 영세 농민들은 이제 누구에게 도움을 받아야할지 걱정된다."고 답했다.
출연연구기관이 되면 국가의 연구비 지원은 50% 떨어지고 나머지는 연구 실적을 내 충당해야한다고 했다. 결국 농민이 아니라 실적을 위한, 돈을 벌기 위한 연구에 몰두하는 시스템이 되는 셈이다. 농진청이 개발해 국유 특허권을 지닌 신품종을 농민들이 사용하려면 로열티를 지불해야한다고 했다. 신품종을 살 수 없는 영세 농민들은 자연스레 고사된다.
그래서 무작정 블로그에 글을 썼다.''어느 연구사의 아내''란 이름으로 담담하게 남편의 모습을 적었다. 며칠새 조회수가 20만건을 넘어섰다. 무작정 악플을 다는 10% 정도를 빼면 대부분 지지를 보내줬다."''철밥통 공무원''이 밥그릇을 지키려 한다고 비난하기보다 농촌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우리 농촌의 안타까움을 알리고 싶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