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정무수석이 지난달 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대통령실 우상호 정무수석비서관은 1일 검찰개혁과 관련해 "이 문제를 토론하면서 인신공격들을 하지 않아야 된다"고 밝혔다.
우 수석은 이날 YTN라디오 '김영수의 더 인터뷰'를 통해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님도 그렇고 임은정 검사장도 그렇고 '이런 방안이 제일 좋다'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은 좋은데 사람을 거명해서 공격하는 방식은 썩 바람직해 보이지는 않는다"며 이 같이 지적했다.
앞서 정성호 법무장관이 1차 수사기관의 권한 집중을 이유로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을 법무부에 두는 방안을 거론하자 민 의원은 "(민주)당 지도부는 정 장관이 너무 나간 것 아닌가 생각하는 것 같다. 그렇게 말씀하신 것에 대해 장관 본분에 충실한 것인가 하는 우려도 좀 있다"고 비판했다.
현 정부에서 서울동부지검장으로 승진한 임은정 지검장은 "정 장관조차도 검찰에 장악돼 있다"며 정부의 개혁안이 "검사장 자리 늘리기 수준인 것 같아서 참담한 심정"이라고 비난했다.
이 같은 발언들에 대해 우 수석은 "논쟁을 하라고 했더니 싸움을 거는 것이지 않느냐"며 "결국 목적은 건강한 논쟁을 통해서 국민들의 판단을 돕는 것 아니겠느냐"고 거듭 지적에 나섰다.
그러면서 "국민의 지지를 받지 않는 개혁이 성공할 수는 없는 것처럼, 개혁을 추진하고 하는 정치인들끼리 혹은 검찰 내 인사끼리 서로 싸우는 모습은 이 개혁의 취지를 훼손하는 것"이라며 "(내용상) 아무리 옳은 주장을 (한다고) 해도 그(싸우는 모습을 보여서는 안 된다는) 조언을 드리고 싶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연합뉴스중수청 배치와 관련해서는 "이번에 수사와 기소를 분리하기로 당정대 간에 합의를 했다. 이건 굉장히 큰 역사적 사건이다. 말하자면 검찰청이라는 이름이 사라지는 것"이라며 "그 다음에 이에 따르는 기관들을 어디에 두느냐, 이 것은 제가 볼 때는 사소한 문제로 보인다"고 말했다.
우 수석은 "이 문제를 놓고 막 엄청나게 다툼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제가 볼 때는 법무부 밑에 두나 행안부 밑에 두나 그게 무슨 큰 차이인가 (싶다)"며 "더 중요한 것은 확실하게 수사 검사가 기소에 관리가 안 되고 기소 검사가 수사에 관여를 못하게 하면 되지 않겠느냐"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과의 회동 방식을 두고 신경전을 펼치고 있는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관련한 질문에 대해서는 "(일대일 회동 제안 등) 그런 문제를 포함해서 물밑에서 지금 조율 중"이라며 "어차피 만나지 않겠나. 여야 지도자들이 만나서 자꾸 대화를 해야 한다"고 답했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장 대표 간의 설전에 대해서는 "정치인들이 말로 다투거나 이렇게 대항하는 것에 있어서 너무 심각하지 않다고 본다. 말로 이루어진 일은 말로 풀면 된다"며 "기본적으로 입장이 다르고, 작년 말에 여러 가지 엄혹했던 시기의 경험들을 했던 과정이어서 시간을 두고 풀어갈 문제"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