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고백의 역사'. 넷플릭스 제공"학알을 1만 개 접겠다고…(웃음)"넷플릭스 영화 '고백의 역사'를 연출한 남궁선 감독이 작품 속 고백의 아이템으로 등장한 '종이 학알'에 얽힌 촬영 비화를 전했다.
25일 서울 마포구 호텔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넷플릭스 영화 '고백의 역사'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남궁선 감독을 비롯해 배우 공명, 신은수, 차우민, 윤상현이 참석해 작품을 소개했다.
'고백의 역사'는 1998년 부산을 배경으로, 19살 박세리(신은수)가 학교 최고의 인기남 김현(차우민)에게 고백을 준비하며 평생의 콤플렉스인 곱슬머리를 펴기 위한 작전을 계획하던 중 전학생 한윤석(공명)과 얽히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남궁 감독은 "처음 시나리오를 봤을 때 '종이 학알'이 뭔지 몰랐다"며 "접은 양만큼 사랑을 표현한다고 하더라. 작품에서 1만 개가 필요해 실제로 접게 됐다"고 떠올렸다.
이어 "여기 계신 배우뿐 아니라 스태프도 함께 학알을 접었다"며 "촬영장에 학알을 놓는 곳도 마련돼 다들 열심히 접었다"고 말했다.
공명도 "촬영하고 나면 다른 교실에 앉아서 학알만 접고 있었다"며 "은수 배우는 여러 개를 한 번에 접는 스타일이었고, 저는 꼼꼼하고 예쁘게 접었다"고 웃었다.
이에 진행을 맡은 박경림이 "가내수공업을 방불케 하는 고백수공업"이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좌측부터 배우 공명, 신은수, 남궁선 감독, 차우민, 윤상현. 넷플릭스 제공남궁 감독은 작품 제목의 의미도 설명했다. 그는 "살다 보면 누구나 고백을 하게 된다. 어른의 고백이 잘못에 대해 말하는 것이라면, 어린 시절의 고백은 풋풋하고 사랑에 대해 얘기할 때가 많은 것 같다"며 "각자가 지니는 자신만의 고백 역사를 돌아볼 수 있는 의미"라고 전했다.
이 과정에서 신은수는 부산 사투리를 구사하기 위해 대본을 통째로 외웠다고 한다. 그는 "대본을 외우고 싶어서 외운 게 아니었다"며 "사투리 선생님하고 일주일에 두, 세 번 만나서 사투리 연습을 하고 따로 개인적으로 연습하다 보니 외우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옆에 있던 공명도 "정말 노력 많이 했다"고 밝혔고 부산 출신인 차우민, 윤상현 모두 "부산 사람 같았다"고 말했다.
촬영 당시 작은 소동도 있었다. 극 중 박세리의 고백을 돕는 백성래 역을 맡은 윤상현의 외모를 두고 의상·분장 팀에서 '성래가 너무 잘 생긴 거 아니냐'는 말이 나온 것.
남궁 감독은 "다들 너무 진지한 표정으로 계셨다"며 "그런데 상현 배우가 머리에 헤어피스를 붙여 5:5 가르마를 표현하면서 해결됐다"고 말했다.
25일 서울 마포구 호텔나루서울엠갤러리에서 영화 '고백의 역사' 제작보고회가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공명, 신은수, 차우민, 윤상현, 남궁선 감독. 연합뉴스극 중 학교 인기남 김현을 연기한 차우민(김민우)은 실제 학창 시절에도 '인기남'이었다는 말도 나왔다.
신은수는 "학창 시절에 '김민우 짱', '최고의 미남' 등 편지, 선물, 쪽지받은 걸 보여줬다"고 전했고, 공명도 "진짜 학교 인기 짱이었던거 같다"고 거들었다. 이에 차우민은 이번 작품을 위해 "매일 러닝하고 촬영 전날 마스크팩을 붙였다"며 "충분한 수면 시간을 확보하려고 노력했다"고 웃었다.
남궁 감독은 끝으로 촬영 현장 분위기에 대해 "좋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촬영 끝나고 집에서 자고 있으면 웃으면서 깨고 그랬다"며 "너무 즐겁고 웃음을 참을 수 없을 정도로 NG가 난 적이 많았다"고 말했다.
이어 "빗장 잠근 마음을 열어놓고 편한 마음으로 즐겁게 봐주시면 저처럼 피식피식 웃으면서 보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당부했다.
'고백의 역사'는 오는 29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