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장관 취임사 '비상계엄' 뺀 국방일보 논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장관 지침에 정면도전?

28일자 1면 머리기사에 안규백 장관이 강조한 '12·3 내란 척결' 빠져
취임사에 3번 등장한 '비상계엄'도 언급 없어
채일 국방홍보원장 정치편향 행보…국방부 감사에다 권익위 공익신고 직면
국방일보 측 "기사 작성 과정 문제 없었다…군 매체 특성 감안해야"

안규백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안규백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
국방부 기관지인 국방일보가 안규백 국방부 장관의 취임사 가운데 12·3 비상계엄 관련 내용을 누락하는 등 의도적으로 편집한 의혹이 일고 있다.
 
국방일보는 28일자 1면 머리기사에 "국민이 신뢰하는 첨단강군 육성에 진력"이란 제목으로 안 장관의 지난 25일 취임 일성을 보도했다.
 
신문은 안 장관이 '한미 연합방위태세에 기반한 군사대비태세'와 '국민이 신뢰하는 첨단 강군 육성'을 거론한 것을 기사 첫줄에 올리며 핵심 요지로 삼았다.
 
이어 '국민의 군대 재건'과 '군 구조와 체질의 근원적 개혁' '한미동맹 강화' '방산강국 실현' '한반도 평화정착의 군사적 뒷받침' 등을 안 장관이 말한 순서대로 나열했다.
 
하지만 안 장관이 가장 강조한 12·3 내란 척결에 대한 메시지는 기사에서 빠졌다. 안 장관은 취임사 전체 분량의 약 1/5을 할애해 우리 군이 "비상계엄의 도구로 소모된 과거와 단절해야 한다"는 점 등을 역설했다.
 
그는 "12·3 비상계엄은 우리 군의 존재 이유를 무너뜨리고, 국민의 신뢰와 군복의 명예를 실추시켰다"고 하는 등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는 취임사의 전반부를 차지함으로써 중요도가 더욱 높았지만 국방일보는 이 대목을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국방일보 캡처국방일보 캡처
취임사에 세 차례나 등장한 '12·3 비상계엄'은 기사에는 단어 자체가 없었고 '문민통제'라는 표현도 빠졌다. 그나마 비슷한 단어는 '문민 국방부 장관'과 '헌법적 가치' 정도였다.
 
군 안팎에선 국방일보가 안 장관의 의중을 모를 리 만무하다는 점에서 다분히 의도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사실이라면 장관의 지휘 지침을 거스르고 군 독자들에 왜곡 전달한 셈이다.
 
안 장관은 후보자 시절 첫 출근길에 "신상필벌 원칙으로 잘 한 사람은 상을 주고 잘못한 사람은 죗값을 치러야 한다"고 하는 등 계기마다 내란 척결과 과거 단절을 강조해왔다.
 
이와 관련, 국방일보를 발행하는 채일 국방홍보원장이 최근 정치편향적 행보로 국방부의 감사를 받고 있는 사실이 주목된다.
 
채 원장은 지난달 9일자 국방일보 1면에 배정됐던 '한미 대통령 간 통화' 기사를 일부 극우 유튜브 주장을 근거로 빼라고 지시했다는 의혹 등을 받고 있다.
 
그는 이밖에도 소속 직원들에 대한 인사 보복 등으로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의무를 위반했다는 공익신고가 국민권익위원회에 접수된 상태다. 그는 20대 대선 당시 윤석열 캠프 공보특보를 지냈고 2023년 5월 국방홍보원장에 임명됐다.
 
국방일보 관계자는 "기사 작성과 데스크 등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뤄졌고 별 문제가 없었다"며 "매체별로 논지가 다를 수 있고 군 매체로서의 특성을 감안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채 원장의 압박을 사전 의식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원장도) 최근에는 지면 제작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면서 "국방일보도 자체 자정 능력을 갖고 대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