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세비外 5억 안팎 소득"…野 "돈 인지 감수성 상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소득 근거로 축의금·조의금·출판기념회 등 들어

"저 정도 연배, 의원에게 가능한 통상적 수준"
국힘 "6억 현금, 집에 쌓아두고 썼다니 충격적"
"시효 지났어도 공선법 등 위반…그 자체로 낙마사유"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류영주 기자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류영주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를 둘러싼 재산 증식 의혹 등이 연일 불거지는 가운데 김 후보자는 아들의 유학비용은 이혼한 전처가 전적으로 부담했으며, 세비 외 경조사와 출판기념회 관련 5억 안팎의 소득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김 후보자는 19일 jtbc <오대영 라이브> 인터뷰에서 최근 5년간 김 후보자의 소득이 5억 1천만원 정도인 데 반해 지출은 13억 원에 달해 8억 가량이 빈다는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의 지적에 대해 "저런 계산을 참 잘하시나 보다. 그런데 이미 제가 (사실이) 아니라고 얘기한 것까지 집어넣어 틀린 말씀을 하신 것"이라고 반박했다.
 
앞서 2019년 재혼한 김 후보자는 "제가 참 가정에 아픔이 있어서, 아이를 애들 엄마가 사실상 키웠다. 지난해 대학에 들어갔는데 (야당은) 유학한 데 비용을 다 포함한 것이 제가 부담했다고 전제한 거잖나"라며 "그건 제가 쓴 게 아니니 (빼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 그 사이 재혼으로 발생한 축의금과 조의금, 출판기념회 1~2번을 통해 얻은 수익 등이 도합 5억 가량 된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자는 "통상적으로 제 연배 정도에 애사나 경사가 있거나, 저 정도 되는 국회의원이 출판기념회를 했을 때 통상적인 수준 정도로 생각하는 액수가 몇 년 동안 세비 외 소득으로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행자가 다른 중진 의원들도 보통 비슷한 기타 수입이 생기는지 묻는 질문에는 "중진이 아니라 초선이라도 (그럴 수 있다). 사람마다 다를 것"이라고 답했다. 김 후보자는 "(야당 측에서) 자료를 안 낸다고 자꾸 그러시는데 날짜가 아직 마감이 안 됐다. 기억 안 나는 것까지 다 해야 되다 보니 우리 직원들이 확인해서 다 근거까지 정리하고 있다"며 "그렇게 해 보니 (계산이) 대략 맞더라"고 부연했다.
 
불법정치자금 사건 추징금의 증여세는 지인들로부터 1억 4천만원을 빌려 해결했고, 신용대출이 가능한 상황이 되면서 농협 대출을 통해 이를 갚았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20일 이를 두고 "김 후보자의 변명은 한 마디로 '6억 원 정도는 나 같은 유력 정치인에게는 흔히 들어오는 통상적인 현금'이라는 말이다. 공직자가 경계해야 할 '돈 인지 감수성' 상실"이라고 맹공했다.
 
국민의힘 인사청문특위 위원인 주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김 후보자가 현금 6억 원을, 경조사비·출판기념비에서 받은 돈 봉투를 모아 집에 쌓아두고 썼다니 충격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2019년 12월 12일 결혼 축의금은 같은 달 30일에 정확한 현금 보유액을 재산에 등록·공개했어야 맞다. 마찬가지로 2020년 11월 2일 빙부상 조의금은 그해 말일 기준 등록 대상"이라고 지적했다. 2022년 4월 5일과 2023년 11월 29일에 진행된 출판기념회 또한 각각 당해 말일에 등록됐어야 맞는 소득이라고 했다.
 
주 의원은 "아무리 분석해도, (김 후보자가) 현금은 등록에서 누락했다. 현재 얼마의 현금이 남았는지도 밝혀야 한다"며 "공직자윤리법과 더불어 공직자선거법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총선 당시 후보자 재산 공개에서 현금을 고의로 누락한 것이라며 '허위사실공표죄'에 해당된다고 봤다. 주 의원은 "시효는 지났지만 선거에 큰 영향을 끼쳤음을 부정할 수 없다. 따져보니, 공직자윤리법을 6차례·공직선거법을 2차례 위반한 것"이라며 "과거 사례에 비춰 당연히 낙마 사유"라고 공세를 퍼부었다.
 
앞서 주 의원은 전날에도 SNS를 통해 "아직 소명이 안 된 '아들 유학비 2억 원'을 빼주더라도, 경조사와 출판기념회에서 받은 현금이 최소 6억원이 넘는다"며 "6억 원의 현금을 집에 쟁여놓고 그때그때 써왔으며, 재산 등록은 매년 누락해 왔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공직자윤리법 위반은 그 자체로 낙마 사유로, 실제로 오광수 전 민정수석도 같은 이유로 자진 사퇴했다고 지적했다.
 
주 의원은 "더 결정적 문제는 경조사·출판기념회에 다녀간 수많은 사업가·공무원·후원자·이해관계자들이 얼마를 냈을지다. 1억 4천만원을 빌려준 강신성씨 등은 과연 얼마를 냈겠나"라고 되물었다. 당국에 미신고된 현금 중 남은 금액은 없을지, 또 다른 종류의 불법 정치자금과 섞였을 가능성은 없는지도 따져봐야 한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조만간 관련 소명자료를 모두 제출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불교방송 라디오에 출연한 김 후보자는 "결론을 말씀드리면 다 소명이 된다. 큰 문제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