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산 금지 조치에도 대구 산불 발생…'인력·장비 부족'으로 감시 한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산림청이 지난달 25일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하자 산이 없는 중구를 제외한 대구 8개 구·군은 입산 금지 행정명령을 내렸다. 지자체는 현장 단속을 하는 등 입산과 산불 감시를 강화했지만 지난 28일 입산 금지 구역인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다. 산불 예방을 위한 강력한 조치에도 산불이 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부족한 현장 단속 인력

지난 28일 오후 2시 2분 대구 북구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확산하고 있는 모습. 곽재화 기자지난 28일 오후 2시 2분 대구 북구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확산하고 있는 모습. 곽재화 기자
30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지자체는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단계에 따라 산불 감시를 위해 비상근무 인원을 투입한다. '경계' 단계에서는 소속 공무원의 6분의 1 이상, '심각' 단계에서는 4분의 1 이상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대구 북구도 관내 주요 등산로 입구 등 30개소를 지정하고 각 지점마다 2인 1조를 오전, 오후로 배치해 비상근무에 돌입했다.
 
하지만 지난 13일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가 '경계' 단계로 하향되면서 구청 직원들은 14일부터 현장에서 철수해 비상근무 대기만 했고, 산불 감시원 12명과 산불 진화대원 10명만 현장에 투입됐다.
 
산불 감시원들은 산불 취약 지역 12개소마다 각 1명씩 배치돼 감시하고, 진화대원들은 하루 5명씩 순찰을 돈다. 근무 시간은 점심시간인 오전 10시~낮 12시 반을 제외한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다.

입산과 산불 감시가 이뤄지는 장소도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데다 감시하는 시간도 제한적이다.
 
대구 북구 관계자는 "현장에서 직접 단속할 수 있는 상황이 안 된다. 인원이 적어 전체 산림 지역을 감당할 수 있는 정도가 안 된다"고 털어놨다.
 
현재 대구시에서는 관내 등산로 출입구 169개소 중 주요 사찰 등이 있는 23개소를 제외한 146개소에 대해 입산을 통제하고 있고, 이 중 대구시가 14개소를, 나머지 132개소는 각 구·군에서 입산 통제를 관리하고 있다.
 
대구시 공무원들 또한 정해진 시간대 없이 하루 4시간 동안 기상 상황이나 입산객이 많이 몰리는 시간대를 노려 입산을 감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입산 금지 행정명령과 함께 공무원들이 단속에 나서고는 있지만, 현실적으로 입산 통제구역을 24시간 살피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입산자에 의한 실화 또는 방화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다.

입산자 확인할 수 있는 CCTV도 부족

30일 관계당국이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 산불 원인을 밝히기 위해 현장 감식을 진행하고 있다. 곽재화 기자30일 관계당국이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 산불 원인을 밝히기 위해 현장 감식을 진행하고 있다. 곽재화 기자
산의 경우 도심과 달리 폐쇄회로(CC)TV가 드물어 사고를 조기에 파악할 수 없고 사후 수사에 활용할 근거를 찾기도 어렵다.

대구 북구는 현재 산불 감시 카메라 7대를 운용하고 있다.
 
북구 관계자는 "산불 감시에 큰 어려움은 없지만, 산불 감시 카메라가 광범위한 면적의 산불을 감시하기 위한 용도로 쓰이기 때문에 입산자를 확인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산불 감시 카메라 이외에도 북구는 주요 등산로에 생활안전 CCTV를 배치해 운용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수가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북구는 지난 28일 산불이 발생한 함지산 일대 15개소에 20대의 생활안전 CCTV를 운용하고 있는데, 이번 불이 최초 발화한 노곡동에는 CCTV가 1개밖에 없다. 인근 조야동에 설치된 CCTV도 3개에 불과했다.
 
주요 등산로가 아닌 경로를 통한 입산자를 확인하기 어렵고, 입산자의 실화 또는 방화로 불이 날 경우에는 수사도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한편 대구시와 8개 구·군이 입산 금지 조치를 시행했음에도 이달에만 대구에서 4건의 산불이 잇따라 발생했다.

향후 산불 감시를 위한 장비 도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