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무주 그랑프리 챔피언 박태준(오른쪽). 세계태권도연맹 제공태권도 올림픽 랭킹 포인트 적용 주기가 4년에서 2년으로 조정됐다.
세계태권도연맹(WT)은 24일 "올림픽 랭킹 포인트 적용 주기를 기존 4년에서 2년 단위의 2차 주기로 변경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권고에 따른 것으로 보다 공정하고, 역동적인 랭킹 포인트 시스템 적용을 위함"이라고 발표했다.
새로운 랭킹 시스템에서는 매년 랭킹 포인트가 50%씩 차감된다. 2년 주기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모든 올림픽 랭킹이 초기화된다.
2024년 7월~2026년 6월을 1차 주기, 2026년 7월~2028년 6월을 2차 주기로 설정했다. 2024년 10월에 40점을 획득한 선수는 2024년 11월 랭킹에 반영되고, 2025년 11월에는 50%가 삭감된다. 이후 2차 주기가 시작되는 2026년 7월 해당 포인트가 초기화되는 방식이다. 2025년 10월 획득한 랭킹 포인트도 2026년 6월까지 유지되고, 2차 주기 시작과 함께 초기화된다.
1차 주기에서 획득한 랭킹 포인트는 2차 주기에 열리는 그랑프리 대회 참가 자격 및 시드 배정에 반영된다. 2차 주기에서 획득한 랭킹 포인트에 따라 2028년 1월 발표되는 올림픽 랭킹을 기준으로 체급별 상위 5명에게 LA 올림픽 출전권이 자동으로 주어진다. 이우 2028년 6월 랭킹에 따라 올림픽 출전 시드가 배정된다.
새로운 랭킹 주기 도입에 따라 매년 1월 가능했던 체급 변경도 5월1일~25일 사이에 가능해졌다. 선택 체급은 6월1일부터 이듬해 5월31일까지 유지된다.
2022년 처음 도입된 그랑프리 챌린지(G2)는 기존 올림픽 랭킹 하위 선수들에게만 참가 자격을 부여했지만, 새로운 랭킹 주기에서는 랭킹에 상관 없이 출전이 가능하다. 다만 올림픽 체급에 따라 먼저 등록한 선수를 기준으로 국가당 한 체급별 출전 쿼터를 최대 4.5명으로 제한했다.
2025년 그랑프리 챌린지 1, 2, 3에서 3위 이내 입상하면 2026년 그랑프리 시리즈 1, 2, 3 참가 자격이 부여된다. 이어 2차 주기인 2027년 그랑프리 챌린지 1, 2, 3 입상자는 2027년에 참가 자격을 받는 방식이다. 다만 한 국가에서 2명 이상이 3위 이내에 들면 상위 1명에게만 출전권을 준다.
올해는 6월 미국 샬롯, 8월 무주 태권도원, 11월 태국 방콕에서 그랑프리 챌린지가 열린다. 그랑프리 시리즈 파이널은 2026년과 2027년 개최된다.
체급별 상위 1명에게 올림픽 자동 출전권을 부여하는 그랜드 슬램 챔피언 시리즈의 메리트 포인트에도 변화를 줬다. 기존 그랜드 슬램 누적 메리트 포인트 2위와 올림픽 랭킹 상위 5위 이내가 중복될 경우 올림픽 랭킹 차상위자에게 자동 출전권을 줬지만, 메리트 포인트 2위에게 LA 올림픽 자동 출전권을 배정하기로 했다. 메리트 포인트 2위도 올림픽 랭킹 상위 5위 이내와 중복되면 올림픽 랭킹 차상위자에게 출전권이 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