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망이 마비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불에 완전히 탄 96개 전산망을 복구하는데는 최소 한 달이 걸릴 전망입니다.
불이 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10년 내구연한이 지난 배터리 교체 권고도 무시했던 것으로 드러나 인재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박지환 앵커] 행정안전부에 나가 있는 권혁주 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권혁주 기자!
국가전산망 650여개가 멈췄었는데 현재 얼마나 복구된 겁니까?
[기자] 네, 지난 26일 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무려 647개 정부시스템이 가동을 멈춰었는데요.
정부는 오늘 낮 12시를 기준으로 62개 시스템이 복구돼 가동됐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 중 국민이 많이 써 중요도가 높은 1등급 업무는 전체 36개 중 16개, 44.4%가 정상화됐다고 전했습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의 전산실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이 무더기로 마비된 가운데 29일 서울시내 지하철역 무인민원발급기에 운영 중단 안내문이 표시돼 있다. 황진환 기자추석 연휴를 앞두고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던 우체국 우편·금융서비스가 우선 복구됐고요. 주민등록등본 발급 등 일상적으로 자주 활용하는 정부24 서비스는 오전에 복구됐습니다.
그러나 청년대출을 받기 위해 보증보험 가입 심사때 제출해야 하는 정부24 내 임대차계약 신고를 통한 확정일자 받기 등 일부 서비스는 오전에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앵커] 불에 탄 시스템만 96개에 달한다고 하는데 이거는 대구로 옮겨 새로 설치한다고요?
[기자] 네, 현재로서는 국가전산망이 언제 완전히 복구되느냐가 가장 중요한 문젠데요. 최소 한달 정도 지나야 복구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불이 났을 당시 고온으로 시스템이 망가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선제적으로 전원을 차단했던 시스템은 차츰 점검해 재가동을 하면 되는데 불에 완전히 타버린 96개 시스템 복구가 문젭니다.
정부는 이 시스템들은 국정자원 대구센터 민간협력 클라우드 존에 설치한다는 계획입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의 말 들어보시죠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행안부 차관)이 29일 정부세종청사 민원동 공용브리핑실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불에 탄 96개 시스템은 앞서 보도한대로 대구 민간협력클라우드 센터에 설치할 예정입니다.정보자원 준비에 2주에 시스템 구축에 2주 걸릴 것으로 예상되나 입주기업 협조로 최대한 일정을 앞당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김 차관은 "국민에게 불편을 끼쳐드린 데 대해 거듭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 장애를 신속히 복구하고, 상황이 안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전산망 마비에 따른 국민불편이 당분간 계속될 수밖에 없게 됐는데 민원 등의 업무를 전혀 보지 못하는 것은 아니죠?
[기자] 그렇습니다. 온라인 전산망이 마비돼 평상시처럼 인터넷으로 쉽게 업무를 하기 어려운 것이지 해당 기관을 직접 방문하거나 민원을 직접 손으로 써서 내거나 하면 업무는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시간과 비용을 더 투자해야 되고 처리 속도도 오래 걸리는 불편이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는 대체수단으로 업무 연속성은 유지된다며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을 통해 국민에게 상세하게 안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장애 복구시간을 고려해 9월 재산세 납부 기한 등 각종 세금 납부 및 서류 제출 기한을 연장했고요.
오프라인에서 서류를 발급받을 때 발생하는 수수료도 전면 면제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화재 원인이 아직 나오진 않았는데 배터리를 무자격업체가 옮겼다. 아르바트생이 했다. 여러 설이 있었는데 정부가 해명을 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김민재 차관은 오늘 브리핑에서 "무자격 업체가 배터리 운반에 투입됐다는 내용은 확인 결과 사실과 다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
김 차관은 "배터리 이전 준비 중 화재가 발생했고, 이때 작업자는 자격을 보유한 전문기술자이자 화재 부상자이기도 하다"고 해명했습니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시스템이 이중화되지 않은 것에 대해 대통령도 이해할 수 없다고 하는 등 핵심 문제로
떠올랐는데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시스템의 효율성을 따지느라 시간이 걸렸고 예산 문제 등도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이중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간 연계 등 문제가 복잡한데 어떤 모델이 효율적인지 연구용역을 거치느라 시간이 걸렸고 대전본원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똑같이 갖추기 위해서는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도 했습니다.
[앵커] 국정자원이 내구연한이 지난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았다는데 왜 그랬다고 합니까?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앞서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연합뉴스[기자] 네, 리튬배터리 권장 사용기간은 10년인데 국정자원이 10년이 넘은 배터리도 교체하지 않아 사고의 주요한 원인이 된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작년에 내구연한이 넘은 일부 배터리에 대해 교체권고가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국정자원은 배터리 자체에 대해 정상 판정을 받았고 더 써도 되겠다는 판단을 하고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았습니다.
이재용 원장입니다.
"어쨌든 정상적이지만 부기가 달렸던 부분에 대해 주의깊게 살펴보지 못했습니다. 다른 뜻은 없고 일상적인 권고였기 때문에 저희가 그렇게 판단을 했었습니다."
민간에는 시스템 이중화를 하라고 압박하면서도 정부는 이를 게을리하고 폭발위험이 있는 배터리 권장 사용기간조차 지키지 않는 안전불감증, 안이함 등이 이 사태를 불러왔다는 지적입니다.
[앵커]권혁주 기자 수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