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영주 기자전국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가 의대생과 전공의의 학업·수련 복귀를 '특혜'가 아닌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과정이라고 강조하며, 정부와 정치권에 책임 있는 사과와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
전의비는 28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의대생들이 학업을 재개하고 전공의들이 수련을 재개하는 것은 무너졌던 의학교육과 의료 시스템을 회복하기 위한 불가피한 과정"이라며 "이는 미래 환자의 안전과 국민 건강을 위한 기반이 된다"고 밝혔다.
전의비는 의대 학사제도의 특수성을 강조했다. 의대는 단 한 과목에서라도 낙제(F)를 받을 경우 전체 학년이 유급되며, 계절학기나 재이수 제도가 사실상 없어 교육과정의 연속성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의대생 복귀는 형평성을 해치는 특혜가 아니라 최소한의 필요조건"이라고 강조했다.
24·25학번 학생들의 교육 적체 문제도 지적했다. 전의비는 "강의실 및 실습 분리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교육의 질을 유지하고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교육 당국과 대학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아울러 이번 의료 갈등의 책임이 전(前) 정부에 있다고 지적하며 진정성 있는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했다.
전의비는 "윤석열 전 대통령을 포함한 전 정부 주요 인사들이 충분한 논의 없이 의대 정원 확대 정책을 일방적으로 추진한 데서 갈등이 시작됐다"며 "이에 동조하거나 침묵한 일부 대학 총장, 정치권, 국회 역시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국민과 의료계 앞에 진정성 있는 사과와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구체적 약속을 제시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7월 12일)와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7월 14일)가 국민에게 유감과 사과의 뜻을 밝혔다"며 "의대생과 전공의에게 추가 사과나 서약을 강요하는 것은 비상식적 처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