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초청 오찬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은 13일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회원들을 용산 대통령실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하며 "국민은 어머니들의 오랜 세월 각고의 노력과 고통스러운 삶의 역정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찬 모두발언에서 민가협을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산증인, 역사와 같다"고 설명하며 "고통스러운 투쟁 현장에 어머니들이 가장 먼저 달려와 주셨고, 몸을 아끼지 않고 싸워주신 덕분에 대한민국이 전 세계가 바라보는 민주적인 나라로 성장하고 발전했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말을 마친 뒤에는 자리에서 일어나 참석자들을 향해 90도로 인사했다.
이어 과거 국가폭력 피해자 가족들이 겪어온 희생을 언급하며 "앞으로 또 이 나라가 어떤 상황에 처하게 될지 모르겠지만 우리 어머니들이 더이상 현장에서 고통받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또 "가족들이 부당한 권력에 의해서 희생당하고 그 때문에 일생을 바쳐서 길거리에서 싸워야 되는 그런 상황이 다시는 오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민주주의의 의미에 대해 "추상적인 것 같지만 가장 현실적이고 가장 체험적인 현장적인 주제"라고 설명하며 "구성원 모두가 자유로운 환경 속에서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공정하고 투명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국가 발전의 가장 큰 토대"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초청 오찬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그러면서 "소수의 잘못된 사람들, 집단 때문에 정말 별것 아닌 욕망 때문에 너무 많은 사람들이 희생당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언제나 빚진 감정이고 죄송하다는 생각을 했다"며 "그 마음 잊지 않고 여러분에게 지금 이 순간부터라도 행복할 수는 없겠지만 자부심 가지고 일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순덕 민가협 상임의장은 답사에서 "바쁘심에도 불구하고 우리 민가협 어머니들 불러주셔서 대단히 감사하다"고 말했다.
조 상임의장은 이 대통령과의 옛 인연을 떠올리며 "변호사 하실 때 사무실에 가서 차 한잔하고 식사도 했는데, 그때는 아주 청년이셨다. 아주 미남이셨다"고 말해 좌중에 웃음이 번지기도 했다.
또한 "민가협이 40주년인데, 다 돌아가시고 아프시고 해서 어머니들 몇 분 안 계시다 보니 고민이 많았다"며 "기록이 별로 없는 걸 다 찾아내며 백서·사진첩 등을 준비하고 있다. 대통령께서도 많이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민가협은 1970~80년대 주요 시국사건 관련자 가족들이 1985년 결성한 단체로, 다음 달 창립 40주년을 맞는다. 민주화 이후에도 양심수 석방, 고문 근절, 국가보안법 문제, 노동·인권 현안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을 이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