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4주 연속↓, 한강벨트·강남3구 일부는 반등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한국부동산원 11월2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직전주 대비 감소한 0.17% 기록
한강벨트, 강남3구 일부지역은 가격 상승률 확대
경기도 비규제지역 상승세는 한풀 꺾여

11월2주 전국 아파트매매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 제공11월2주 전국 아파트매매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 제공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4주 연속 감소했다. 하지만 용산구·성동구와 서초구·송파구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확대되는 등 아파트 가격 양극화 조짐을 보였다.
 
한국부동산원이 13일 공개한 11월2주(11월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직전주(0.19%) 대비 0.02%p 감소한 0.17%를 기록했다.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2주 때부터 4주 연속 감소다. 다만 4주 동안 0.04%p 감소로 시작했던 직전주 대비 감소폭은 0.27%p→0.04%p→0.02%로 확연히 줄어드는 모양새다.

11월2주 서울의 25개 자치구 가운데 마·용·성 한강벨트 가운데 용산구(0.23%→0.31%)·성동구(0.29%→0.37%), 강남3구 가운데 서초구(0.16%→0.20%)·송파구(0.43%→0.47%)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직전주 대비 증가했다. 도봉구도 0.03%로 직전주(0.02%) 대비 소폭 상승했다.
 
지난주까지 심상치 않은 상승세를 기록하며 '풍선효과' 우려를 낳았던 경기도 비규제지역의 상승률은은 일단 한풀 꺾인 모양새다. 용인 기흥구(0.21%→0.30%)만 상승세를 유지했고 동탄 신도시가 있는 화성(0.26%→0.25%), 구리(0.52%→0.33%)는 상승세가 감소했다. 경기도는 상승률 0.10%를 기록하며 직전주(0.11%p) 대비 소폭 감소했다.
 
지방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직전주와 동일한 0.01%를 기록했고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06%로 직전주(0.07%) 대비 감소했다.
 
서울과 수도권의 전세가격 상승률은 직전주와 동일한 0.15%, 0.11%를 각각 기록했다. 지방의 전세각격 상승률은 0.04%로 직전주(0.05%) 대비 감소했고 전국의 전세가격 상승률은 0.08%로 직전주와 동일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