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AI는 인간을 꿈꾸는가'…'의식'과 '존엄'의 경계가 흔들린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미래의창 제공 미래의창 제공 인공지능이 시를 쓰고, 법률 자문을 하고, 예술 작품까지 만들어내는 시대다.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는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을까.

듀크대학교 법학자 제임스 보일이 신작 'AI는 인간을 꿈꾸는가'는 인공지능 시대의 '인격(personhood)' 개념을 새롭게 조명한다.

보일은 AI, 기업, 동물, 인간-동물 혼종(키메라) 등 인간과 닮은 비인간 존재들을 사례로 제시하며 "누가 인격을 가질 자격이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인간이 만들어낸 인공 존재들이 점점 더 인간처럼 말하고 느끼며 사고하면서, 인격의 기준은 점점 더 모호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법인은 생명체가 아님에도 법적 인격을 부여받는다"며 "AI 인격 논의는 이미 시작된 역사적 연장선"이라고 말한다. 또 인공지능의 예술 활동이 인간의 가치를 위협하기보다 오히려 '진품'의 상징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책은 구글의 언어모델 '람다(LaMDA)' 사례, 감정을 이해하는 가상의 로봇 '할(Hal)', 인간과 유전자를 공유한 키메라 논쟁 등을 통해 'AI가 실제 의식을 가질 수 있는가'를 탐구한다. 보일은 "인격은 생물학이 아닌 문화와 감정, 법이 만든 사회적 합의"라며 "AI 논쟁은 결국 인간이 자기 자신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의 문제"라고 강조한다.

'AI는 인간을 꿈꾸는가'는 법과 철학, 과학과 문화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 정의를 다시 묻는 책이다. "우리는 누구에게 인격을 부여할 것인가"라는 물음은 이제 철학이 아닌 현실의 질문이다.

제임스 보일 지음 | 김민경 옮김 | 미래의창 | 576쪽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