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splash_zhenzhong liu 제공초·중·고생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을 관리하는 일이 학부모 10명 중 4명에게 스트레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금지보다 부모 교육이 더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드러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전국 초·중·고 학부모 9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자녀의 스마트폰·태블릿 사용 지도가 스트레스"라고 답한 학부모는 40.5%, "너무 벅차다"는 응답은 34.6%였다. 반면 "스트레스가 아니다"라고 답한 비율은 22.8%에 그쳤다.
특히 "부모가 어떤 방식으로 개입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응답도 39.9%에 달해, 많은 학부모가 자녀의 디지털 기기 사용을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혼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진흥재단 제공필요성은 인식하지만 실천으로 옮기지 못하는 현실도 드러났다.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을 "부모가 지도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79.5%, 그러나 실제로 "지도하고 있다"는 응답은 61.6%였다.
소득과 학력에 따른 격차도 두드러졌다. 디지털 기기 사용을 지도하는 '디지털 페어런팅(digital parenting)' 실천율은 부모의 학력이 높고 가구 소득이 많을수록, 또 대도시 거주 가정일수록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정보 접근의 불평등이 양육 환경의 질적 차이로 이어지고 있다"며 "지역·계층 맞춤형 부모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언론진흥재단 제공 학부모 대부분은 단순한 규제보다는 '부모 역량 강화'를 해법으로 꼽았다. 응답자의 88.2%는 "부모 대상 디지털 페어런팅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학교 내 스마트폰 금지 조치에 찬성한 비율은 71.1%였지만, "금지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답한 비율이 절반 이상이었다.
스마트폰을 단순히 '차단 대상'으로 보지 않고, 부모와 자녀가 함께 올바르게 사용하는 협력적 맞춤형 교육 환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재단은 "디지털 시대의 양육은 통제가 아닌 협력"이라며 "부모 교육을 지역·계층 특성에 맞게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