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오피스텔에 거주 가구의 92.2%가 1·2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의 비중은 69.1%에 달했다.
한국부동산개발협회는 2021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한 '거주가구 특성' 분석과 표본추출을 통한 1500개 서울지역 오피스텔의 등기부등본 열람 및 시세(매매·전세·월세) 조사를 통한 '소유자 특성' 분석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오피스텔 거주 가구수 62.7만 가구…1인 가구 80.7%, 2인 가구 11.5%
지난해 12월 건축물대장 기준 전국의 오피스텔은 모두 125만5127실이었는데, 이 중 69.4%인 87만1224실은 수도권에 위치했는데, 서울에만 36만7913실, 29.3%가 집중돼 있다.
18.5%인 23만1688실은 비수도권 5대 광역시에 분포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지방지역의 비중은 12.1%였다.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가구 수는 62만6691가구로 나타났다.
이 중 수도권 거주가구가 74.6%를 차지했다.
전용면적별로는 60㎡ 이하에 88.9%가 거주하고 있는데, 30㎡ 이하에만 63.8%인 40만 가구가 집중돼 있다.
가구원별로는 1인 가구가 전체의 80.7%로 압도적인 비중을 보였으며, 2위인 2인 가구는 11.5%를 차지해 1·2인 가구가 전체의 92.2%에 달했다.
1인 가구의 73.4%는 면적이 30㎡ 이하인 오피스텔에서 거주했고, 30~40㎡는 16.9%를 차지하는 등 면적이 넓어질수록 비중이 낮아졌다.
2인 가구는 33.9%가 30㎡ 이하로 가장 많았지만, 국민 평형이라 불리는 60~85㎡가 19.9%를 차지해 1인 가구와는 분포가 달랐다.
3인 가구부터 5인 가구까지는 60~85㎡가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6인 가구는 85㎡ 초과 가장 많았다.
20대 36.6%, 30대 32.5%로 2030이 69.1% 차지…월세가 절반 이상
연합뉴스연령대별로는 2030세대의 비중이 69.1%로 높았다.
20대가 36.6%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32.5%, 40대 13.6%, 50대 11.3%, 60대 3.9%, 70대 이상 1.7%, 10대 0.5% 순이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거주 면적도 넓어졌다.
10대는 100%, 20대는 84.4%, 30대는 58.5%가 30㎡ 이하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연령대에서도 30㎡ 이하가 비중은 가장 컸지만, 60~85㎡ 비중이 30대는 10.9%, 50대는 20.0%, 60대는 24.1%로 높아졌다.
85㎡를 초과한 면적의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가구 수는 50대 가구가 6181가구로 가장 많았다.
점유형태별로는 보증금을 걸고 월세를 내거나, 순수하게 월세만 내는 등 월세 방식이 54.6%로 가장 많았다.
전세는 28.3%로 전월세가 전체의 82.3%를 차지했다.
40㎡ 이하는 월세, 40~50㎡는 전세와 월세, 50㎡를 넘어서는 면적에서는 자가의 비중이 각각 높았다.
상업시설·대중교통 만족도 높은 오피스텔…소유 목적은 안정적인 월세 수입
거주 만족도의 경우 상업시설이나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아 아파트의 3.12보다 오피스텔이 3.14로 더 높이 나타났다.
교육환경 만족도에서도 아파트의 3.10과 유사한 3.09로 나타났지만, 오피스텔 거주 가구 중 학령기 가구원이 있는 가구의 비중이 2.2%에 불과해 유의미하다고 평가하기는 쉽지 않았다.
오피스텔 소유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소유주의 60% 이상은 50대 이상이며, 평균 보유기간은 8.8년으로 나타났다.
소유주가 살고 있는, 자가점유 비중은 2.5%에 불과해 대부분의 오피스텔은 임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연평균 자본수익률은 2.5%, 소득수익률은 5.6%로 시세차익보다는 안정적인 월세 수입을 목적으로 하는 임대상품으로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부동산개발협회 "투기성 재화 간주로 수요·공급 모두 축소…준공·구입시점 등 규제 더 완화해야"

한국부동산개발협회는 이같은 시장 특성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이 급등하던 2020년 8월 오피스텔이 투기성 재화로 간주돼 주택 수 산입대상에 포함되면서 매입수요가 감소하고 공급도 축소됐다고 지적했다.
현 정부에서는 지난 1·10 부동산 대책을 통해 향후 2년간 준공되는 신축 오피스텔을 구입하거나, 기축 오피스텔을 구입해 등록임대할 경우에는 주택 수에서 제외하는 세제완화 정책을 발표했지만, 지난해 12월에 준공됐거나 구축인 오피스텔을 구입한 경우에는 주택에 산입되기 때문에 형평성 논란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임대인에게는 안정적인 임대수익을, 임차인에게는 도심 속 양호한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오피스텔의 공급과 임대차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승배 한국부동산개발협회장은 "그간의 규제정책으로 오피스텔 공급이 축소됐다는 점에서 신규공급을 확대하려면 세제완화 대상에서 '2년 내 준공' 제한 규정을 완화해야 하고, 공사비 인상을 고려해 금액기준도 현실에 맞게 상향해야 한다"며 "형평성과 거래활성화를 위해 기축 구입시점 제한도 삭제해야 서민·청년의 주거안정 기반 회복이라는 정책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