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끝작렬] 약자에 한없이 강한 롯데의 이중성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노컷뉴스의 '뒤끝작렬'은 CBS 기자들의 취재 뒷 얘기를 가감없이 풀어내는 공간입니다. 전방위적 사회감시와 성역없는 취재보도라는 '노컷뉴스'의 이름에 걸맞은 기사입니다. 때로는 방송에서는 다 담아내지 못한 따스한 감동이 '작렬'하는 기사가 되기도 할 것입니다. [편집자 주]

롯데 (사진=박종민 기자)

 

최근 언론에 등장하는 가장 뜨거운 키워드로 단연 롯데가 꼽힌다.

물론 신동빈 회장과 형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 아버지 신격호 총괄회장, 이들 삼부자의 이름도 실시간 검색어 경쟁을 벌이고 있다.

‘형제의 난’은 연일 막장 드라마로 엎치락뒤치락하며 국민들의 짜증지수를 한껏 높이고 있다.

21일 롯데는 우리 사회의 약자로 꼽히는 아르바이트생에게 행한 갑질 논란에 휩싸였다.

호텔롯데가 아르바이트생을 해고하면서 무리하게 합의서에 서명할 것을 강요한 것이 문제가 됐다.

문제의 호텔롯데 알바생들은 1년 이상 시급을 받으며 일해 온 13명의 장기 근무자들로 지난 7, 8월 모두 해고됐다.

이들을 해고하는데 서명하도록 강요한 합의서 내용은 거창했다.

합의서 한 장으로 롯데는 모든 책임을 면한다는 데서 시작해 알바생에게는 민·형사상 이의제기, 고용노동부 진정·고소·고발·이의제기, 노동위원회 구제신청 등 일체의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내용까지 쓸어 담았다.

사전에 행여 회사가 질 수도 있는 법적 책임을 포괄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것이었음은 물론l이다.

합의에 대해 퇴직 이후에도 비밀을 준수할 의무가 발생하며 위반 시 위반에 대한 책임을 부담한다는 내용까지 포함시킨 것은 생뚱맞기까지 하다는 지적이다.

이미 앞에 들어간 내용을 더욱 강조하며 힘없는 알바생을 위협하는 것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다.

호텔 측은 논란이 일면서 온라인상에서 문제가 불거질 기미가 보이자 합의서를 확인서로 바꾸고 법적·행정적 이의 제기를 못하도록 했던 내용도 삭제하기로 했다.

합의서가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것이었다는 호텔측 해명 또한 옹색하다.

잘못을 인정하는 조치를 뒤늦게 취하긴 했지만 호텔롯데의 이번 처사에 누리꾼들의 반응은 한마디로 어처구니 없다는 반응 일색이었다.

“도대체 롯데의 정체는 뭐냐? 집구석은 난리법석에, 롯데 월드는 하루가 멀다 하고 일 터져, 고용 문제는 강요 일색에..”(헤라맨)

“잘못을 인정한 만큼 발전하기 바란다. 이제 대기업도 횡포 같은 것 바뀔 때도 되지 않았나”(잡다레이)

“잘못 인정? 언론에 나오면 그때서야? 그렇게 하기 전에 잘못이란 걸 모른다는 게 더 나쁜거다”(봄날이 간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