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철강업계 만난 산업장관 "지원 강화 할 것"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포스코 포항제철소 2고로,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 방문
"대미 협상서 철강관세 면제 강하게 요구했지만 관철 어려웠다"
"관세 완화 협의 지속…4000억 철강 수출 보증 상품 신설할 것"

발언하는 김정관 산자부 장관. 연합뉴스발언하는 김정관 산자부 장관. 연합뉴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중국발(發) 공급과잉과 도널드 트럼픠 미국 정부의 관세 폭탄 등 다중고를 겪고 있는 철강 업계를 만나 애로사항을 듣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김정관 장관은 19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포항을 방문하여 미래경쟁력과 산업 안전의 핵심인 포스코 AI(인공지능) 고로와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점검했다.

이와 함께 주요 철강기업 사장단과 간담회를 갖고 업계 애로를 청취하며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였다.

이번 현장 방문은 철강산업 근로자의 안전사고가 반복되는 가운데 AI를 통한 근로자 안전과 생산 공정 관리를 강화하고, 글로벌 공급과잉과 수입재 침투 등 업계의 어려움 속에서 특수탄소강과 같은 철강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정부가 적극 지원한다는 의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포항제철소 2고로와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방문한 김 장관은 AI 기반 스마트 제철공정, 근로자 안전관리 체계 등을 점검했다. 세계 최초로 추진 중인 '한국형 수소환원제철'은 철강산업의 그린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기술로, 2026년부터 2030년까지 8100억원 규모의 실증사업이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김 장관은 현장 시찰에서 "철강산업의 AI 접목을 통한 효율성과 산업안전 강화를 지원하고, 저탄소 철강재 및 특수탄소강에 대한 인센티브 등 저탄소·고부가 전환을 지속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근로자 안전이 산업 경쟁력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하며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기업 관리 강화와 투자 확대"를 당부했다.

이후 열린 간담회에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넥스틸, TCC스틸 등 주요 철강사 대표와 한국철강협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김 장관은 "대미(對美) 관세 협상에서 철강 관세 면제를 강하게 요구하였으나 관철이 어려웠다"며 이에 대한 업계의 이해를 구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이어 "미국 측과 관세 완화 협의를 지속하고, 관세후속 지원대책 이행, 우회덤핑 등 불공정 수입재 방어도 적극 추진해나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철강기업, 금융권, 정책금융기관이 함께해 약 4000억 원 지원 효과를 낼 수 있는 '철강 수출공급망강화 보증상품'을 신설하겠다"고 전하기도 했다.

김 장관은 또 "국내외 공급과잉 문제에 대해서는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품목별 대응 방향을 검토해 나가고, 철강산업 위기로 촉발된 지역경제 어려움을 해소하며, 국회에서 발의된 철강산업특별법에 대해서도 핵심 정책과제들이 입법화될 수 있도록 국회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 한국철강협회는 글로벌 공급과잉 대응과 저탄소‧고부가 전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업계 노력을 전했다.

참석 기업들도 안전관리 강화에 대한 의지 표명과 함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한편 산업부는 철강산업의 위기에 대응하고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지난 1월 출범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TF' 등을 통해 전문가‧업계와 정책 과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TF 논의 결과와 관계부처 협의를 종합하여, 철강기업들의 글로벌 공급과잉 대응 노력 지원, 불공정 수입재 대응, 저탄소‧고부가 전환, 안전관리와 상생협력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향후 발표할 계획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