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손과 다리에 체인 묶는 단속요원들. 연합뉴스미국 조지아주 포크스턴 구금시설에 있는 한국인 300여 명의 귀국을 위한 준비 절차가 속속 진행되고 있다.
현장대책반을 운영중인 조기중 워싱턴 총영사 등은 8일(현지시간) 포크스턴 구금시설을 다시 찾아 한국인들의 귀국을 위한 실무 작업을 벌였다.
현재 구금시설에 있는 한국인들은 자진 출국을 선택할 수도 있고, 구금시설에 남아 체류 적법성을 놓고 이민법원의 판단을 기다릴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총영사는 "안에 계신 분들을 모두 만났고, 전세기 탑승에 필요한 준비를 했다"며 "많은 분들이 한국으로 가는 것을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조 총영사는 이어 "미국측 협조를 받아 여러 기술적 문제를 잘 해결하고 있다"며 "출국 전 완료해야 하는 미 이민 당국의 외국인 번호(A-넘버·Alien number) 부여 절차도 속도를 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진 출국'시 불이익을 받을 우려에 대해 조 총영사는 "자진출국이라 '5년 입국 제한'이 없다"며 "미국에 있는 제도이기 때문에, 그 제도를 참고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한미간 최종적 고위급 조율을 위해 방미길에 오른 조현 외교부 장관은 이날 밤 늦게 워싱턴DC에 도착한다.
미 이민세관단속국 구금시설. 연합뉴스조 장관은 오는 9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을 만나 일각에서 우려하고 있는 구금자들의 재입국 제한 등에 대해 폭넓은 의견 교환을 하는 한편 미국측의 비자 제한으로 미국 건설 현장 등에서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측의 입장을 충분히 설명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항공업계에 따르면, 조지아주에 구금된 한국인을 태울 전세기도 차질없이 10일(현지시간) 한국인들을 태우고 다시 귀국할 수 있도록 준비되고 있다.
예정대로라면 한국에서 미국으로 갈 때 빈 항공기로 움직이는 페리 비행을 하고, 구금중인 한국인들을 태우고 돌아오는 편은 10일(현지시간) 늦게 애틀랜타 공항에서 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석방이 확정될 경우 구금중인 한국인들은 해당 시설에서 약 428km 떨어진 애틀란타 공항까지 차로 이동한 뒤 전세기에 탑승하게 된다.
앞서 미국 이민당국은 지난 4일 조지아주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한 합동 단속 작전을 벌여 한국인 300여명을 포함해 모두 475명을 체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