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 탄 교수. 연합뉴스 미국의 부정선거론자인 모스 탄(한국명 단현명) 교수가 취소된 '2025 북한인권 서울포럼' 기조강연을 수락하면서 최대 1374만원의 강의료를 요구한 사실이 드러났다.
9일 CBS 노컷뉴스가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을 통해 확보한 탄 교수와 포럼 사무국 사이에 오간 이메일에 따르면, 포럼 사무국 위탁업체인 K사 측은 지난 6월 9일 첫 이메일을 발송했다.
이 메일에서 K사 관계자는 7월 15일 서울시가 주최한 북한인권 관련 포럼에 주 강연자로 탄 교수를 초대한다는 내용과 함께 강연료 또는 요구사항을 알려달라고 밝혔다.
아울러 포럼에 공공예산이 지출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저희의 자원은 제한적이지만, 당신의 기여와 당신의 존재가 가져올 영향력을 높이 평가한다"고 덧붙였다.
모스탄 교수가 북한인권 서울포럼 사무국에 보낸 6월 10일자 이메일. 사무국이 예산이 부족하다며 보낸 초청 메일에 '$5000~$10,000'을 요구했다. 당시 환율로 687~1374만원이다. 민주당 박주민 의원실 제공예산이 제한된 만큼 과도한 비용을 요구하지 말라는 말을 외교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K사는 이메일에 포럼의 식순까지 첨부했다. 식순에는 탄 교수에게 할애된 강연 시간이 20분으로 반영돼 있었다.
그러나 탄 교수는 6월 10일 회신을 통해 초청을 수락하면서도 강연료로 '$5000~$10,000'을 요구했다. 당시 환율로 최소 687만원, 최대 1374만원을 요구한 것이다.
K사는 6월 12일, 강연료로 탄 교수가 요구한 최소 금액보다 1천불 많은 $6천(824만원)를 제시하면서 왕복 비즈니스 항공권과 5성급 호텔 숙박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탄 교수는 6월 13일 '기대됩니다'라는 짧은 이메일로 K사측의 제안을 수락했다.
그러던 중 탄 교수는 6월 26일 미국 워싱턴에서 별도로 열린 국제선거감시단 기자회견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성폭행 및 살인 사건에 연루돼 소년원에 들어갔다는 가짜뉴스를 퍼뜨렸다.
앞서 올해 2월 22일 미국 최대 보수행사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은 '아시아의 도널드 트럼프'로 불렸다"면서 "윤 대통령은 부정선거의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계엄령을 선포했다"는 등 한국의 부정선거론자들의 주장을 공개석상에서 유포하기도 했다.
이 같은 사실을 뒤늦게 확인한 서울시는 7월 3일 K사를 통해 그의 초청을 취소한다는 공식 서신을 보냈다.
탄 교수는 7월 4일 이에 대한 이메일을 K사에 보내면서 "합의된 여행을 파기했다"며 실망감을 표했다. 이어 "모든 서류 작업이 완료되었고 약속을 신뢰했으므로 항공권과 호텔 준비를 이행해달라"며 주장했다. 또한 강연료 합의에 대해서도 다시 검토해 달라고 했다.
이에 대해 K사는 7월 9일 마지막 이메일을 통해 서울시가 그의 기조강연 취소에 대한 기존 입장을 변경하지 않았음을 재확인했다. 항공권과 호텔 숙박비도 끝내 지급하지 않았다.
한편, 탄 교수는 K사가 처음 보낸 6월 9일 이메일에서 자신을 '미스터(Mr)'라고 칭하자 6월 10일 답장을 보내면서 자신을 탄 대사(Amb Tan)라고 소개했다.
그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국제형사사법 대사를 지냈지만 2021년 1월 21일 직에서 물러나 현재는 미국의 대표적인 보수 기독교 사학인 버지니아주 리버티대학 교수로 있다.
그럼에도 스스로 '대사'라는 호칭을 고집하자 K사도 뒤이은 이메일에서 그를 매번 '대사'로 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