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환 기자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6.27 대책 이후 4주 연속 둔화되며 안정세가 지속됐다. 한국부동산원이 24일 발표한 '2025년 7월 3주(7.2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0.19%) 대비 0.16% 올랐다.
지역별로는 '한강벨트'인 마포(0.11%), 용산(0.24%), 성동(0.37%) 모두 지난주 대비 상승률이 둔화됐다. 마포는 6.27 대책 이전 0.98%까지 치솟던 상승률이 대책 이후 한 달여 만에 0.11%까지 내려앉았다. 용산(0.74%→0.24%), 성동(0.99%→0.37%) 모두 6.27 대책 이후 큰 폭으로 상승률이 둔화됐다.
2025년 7월 3주 주간 아파트 매매, 전세가격 동향. 한국 부동산원 제공강남3구에서는 서초(0.32%→0.28%)와 강남(0.15%→0.14%)이 지난주 대비 상승률이 하락한 반면 송파(0.36%→0.43%)는 3주만에 상승률이 반등했다. 송파구는 잠실·송파동 재건축 단지가 가격 상승폭을 돌려놓는데 일조했다. 서울시 25개 자치구 가운데 지난주 대비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오른 지역은 중랑(0.03%→0.05%), 강서(0.09%→0.13%)와 송파 등 3곳에 불과했다.
지난주 대비 인천(-0.03%→-0.02%)의 하락폭이 줄어들었지만, 경기 지역(0.03%→0.02%) 상승률이 여전히 감소하면서 수도권 전체(0.07%0.06%) 상승률은 소폭 둔화됐다. 지방의 아파트 가격은 -0.03%를 기록하며 지난주(-0.02%) 대비 하락폭이 커졌다. 전국의 아파트 가격은 0.01%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 제공전세가에서도 서울(0.07%→0.06%)의 상승폭이 줄어들면서 수도권(0.03%→0.02%) 상승폭 역시 감소했다. 지방(0.00%→0.00%)의 전세가가 지난주와 똑같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전국 전세가는 지난주(0.02%) 보다 상승폭이 줄어든 0.01%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