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농식품 가격 안정화 TF 가동…"유통 구조 개선"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농식품 수급 및 유통구조 개혁 태스크포스(TF)' 가동
품목별 수급대책 논의…식품 가격 인상 품목과 인상률 최소화
가격 오른 계란 가격 신속히 안정화 방침

연합뉴스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농식품 수급 및 유통구조 개혁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이를 통해 품목별 수급대책을 논의하고 식품 가격 인상 품목과 인상률 최소화 나가겠다는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지난 16일 기획재정부의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논의된 물가 대책의 일환이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이후 6개월간 식품·외식기업 60여곳이 제품 가격을 인상하면서 가공식품 물가가 두 달째 4%대를 기록했다.

농식품부는 이에 따라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식품업계와 협의해 가격 인상 품목과 인상률을 최소화하고, 인상 시기를 분산하거나 할인 행사를 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또 원자재 가격과 환율, 인건비, 임차료 상승으로 식품업체의 원가 부담이 커진 점을 고려해 오는 30일 종료되는 식품 원료 4종의 할당관세를 연말까지 연장할 계획이다.

소비자에게는 공공 배달앱 소비 쿠폰을 지원해 소비를 활성화하고 중소·중견 식품 기업의 경영 부담을 덜기 위해 국산 농산물 구매 자금 200억원도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할 예정이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소비자가 계란을 고르고 있다. 황진환 기자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소비자가 계란을 고르고 있다. 황진환 기자
더불어 최근 산란계협회의 고시가격 인상과 소비 증가로 가격이 오른 계란과 관련해서도 농식품부는 신속히 가격을 안정화 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산란계 생산 기간을 평균 84주령에서 87주령으로 늘리고, 안정적인 계란 생산을 위해 생산자 단체와 협의해 산란계에 비타민과 영양제를 투입할 계획이다.

수요 분산과 가공식품 물가 안정을 위한 계란가공품 할당 관세 적용 물량도 현재 4천t(톤)에서 1만t으로 확대하고, 자조금을 활용해 일부 대형마트의 계란 납품 단가 인하도 추진한다. 계란의 생산 기반 확대를 위한 시설 투자 지원 예산 144억원도 이번 추경안에 반영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또 계란 산지 가격 조사·발표 체계를 축산물품질평가원으로 일원화하는 등 거래 관행을 개선하고, 계란 생산 기반 확대를 위한 관련 단체·업계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브라질 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에 따른 닭고기 수입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 달 말부터 태국산 닭고기 4천t을 수입하고, 국내산 닭고기 공급을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브라질 내 고병원성 AI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 한해 닭고기를 수입해 오는 8월부터 국내 공급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