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18일 대구 북구 사회혁신커뮤니티연구소 협동조합 소이랩에서 열린 K-콘텐츠 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예비후보가 "부산을 명실상부 해양강국의 중심으로 만들겠다"며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 후보는 18일 발표한 부울경(부산·울산·경남) 공약에서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해 조선·물류·북극항로 개척 등 첨단 해양산업 정책의 집행력을 확보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국내외 해운·물류 대기업 본사와 연구개발(R&D) 센터를 유치해 해양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청년들이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해운·물류 관련 공공기관의 부산 이전 추진 △해사 전문법원 신설 △지역 전략산업·소부장 제조기업·스타트업 등에 성장단계별 맞춤형 자금 공급 등도 약속했다.
부울경을 육해공 '트라이포트' 전진기지로 조성한다는 구상도 내놨다. 이 후보는 "가덕도 신공항과 동남권 철도 사업을 차질 없이 준비하고, 대륙철도 연결의 기회를 더해 부울경을 융합 물류의 중심지로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북극항로라는 새로운 기회를 대한민국이 선점해야 한다"며 "쇄빙선 등 전용 선박 건조를 지원하고, 극지 해기사 등 전문 인력도 신속히 양성하겠다"고 덧붙였다. 트라이포트 배후단지에는 소재·부품·장비 공급망을 집중해 글로벌 소부장 산업 집적지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의 경우 자동차·석유화학·조선산업을 글로벌 친환경 미래산업 선도주자로 키운다는 목표도 설정했다. 경남은 우주·항공·방산과 스마트 조선산업의 메카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경남의 전통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본격 지원해 제조 특화 인공지능(AI) 모델과 플랫폼을 개발하고, AI 기반 스마트 공장을 확산하겠다고 공약했다.
부울경의 30분대 생활권을 조속히 실현하겠다는 공약도 제시했다. 이 후보는 "부울경을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연결하는 GTX급 광역교통망을 완성하겠다"며 "부전역은 동남권 중심역으로 격상하고, 중앙선·동해선·경전선·가덕신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허브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부울경 메가시티의 꿈은 동북아 대표 광역경제권, 대한민국 해양수도로 실현될 것"이라며 "대한민국 회복과 성장의 새 엔진, 부울경과 함께 힘차게 뛰겠다"고 강조했다.
같은날 발표한 대구·경북권 공약에서는 △이차전지 산업벨트 조성 △바이오산업 육성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사업 추진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 후보는 "대구·구미·포항을 글로벌 이차전지 공급망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며 "산업기반을 활용해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와 리사이클링 R&D 역량 강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대구·경북 바이오 산업벨트를 '한국형 바이오·백신 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겠다"며 "농업·의료·헬스케어·식품 등 전후방 산업을 육성해 대구·경북 바이오산업 성장 잠재력을 현실로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AI로봇·수소산업·고부가가치 섬유산업을 미래 핵심 산업으로 키우겠다는 공약도 제시했다. 대구에서는 AI로봇 기업을 집중 육성하고, 이를 구미 로봇직업혁신센터와 연계해 AI로봇 전문인력 양성과 재교육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포항에는 수소·철강·신소재 특화 지구를 조성해 그린수소 생산부터 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산업 인프라를 완비한다는 계획이다. 대구 섬유산업은 친환경 신소재 개발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과 울릉공항의 성공적 추진도 공약했다. 이 후보는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사업 지연 요인을 조속히 해소하겠다"며 "울릉공항은 안전성을 높이고, 조속히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해 울릉도 관광객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이 후보는 "대구·경북은 대한민국 산업화의 요람이었다"며 "대구·경북의 명성이 과거의 영광으로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성장 엔진을 다시 가동하고 산업 경쟁력을 회복해 청년이 돌아오고 지역이 살아나는 활력 넘치는 대구·경북을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