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연합뉴스올해 3분기 전체 가계 부채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6·27 대책 등으로 증가 폭은 전분기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말(1953조3천억원)보다 14조9천억원 증가해 지난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많았다.
분기별 증가 폭은 역대 최대였던 2분기(25조1천억원)보다 10조원(40%) 가량 줄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을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뜻한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올해 3분기까지 여섯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뺀 가계대출은 3분기 말 잔액이 1845조원으로 전 분기 말(1833조1천억원)보다 12조원 늘었다. 증가액은 전 분기(+23조6천억원)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연합뉴스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잔액 1159조6천억원)은 11조6천억원 늘었고,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잔액 685조4천억원)은 3천억원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은 1분기 9조7천억원 증가 이후 세 분기 연속 증가 폭 축소가 이어졌다.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잔액 1003조8천억원)이 10조1천억원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이 10조9천억원 늘었고, 기타대출은 8천억원 줄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16조2천억원)도 2조원 늘었다. 네 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지만 증가 폭은 2분기 3조원보다 줄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3분기 가계대출과 관련해 "6·27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줄고, 신용대출 한도가 차주별 연 소득 이내로 축소되면서 신용대출이 감소세로 돌아서 전체 가계대출 증가 폭도 2분기보다 줄었다"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3분기 가계부채가 0.8% 늘어 증가세가 둔화한 데다 3분기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실질 GDP 성장률(1.7%)로 미뤄 3분기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