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1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AI팩토리 M.AX 얼라이언스 전략회의'에 참석해 축사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정부 조직 개편안이 의결된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기후에너지자원부로 상당수 인력이 이동했다.
산업부에서는 "에너지 정책 기능을 담당하던 인력이 소관 부처로 이동하는 것"이라며 의미를 축소하고 나섰는데 에너지 정책 전문성 부족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산업부 전체 정원 10% 넘게 기후부로
2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현행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관장하는 에너지정책실 조직 중 전력정책관·재생에너지관·원전산업정책국·수소경제정책관 등 대부분이 신설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소속이 바뀌었다. 산업부는 전날 기후부로 이동하는 인원을 218명으로 확정했다.
에너지부로 이체 대상인 산업부 내 인력은 모두 178명이다. 여기에 여기에 사업 부서 외 지원 부서 인력과 휴직자까지 더해 모두 218명이 됐다. 산업부 전체 정원 1402명 대비 약 12.2% 수준이다.
현재 산업부 내 에너지정책실은 에너지정책국·전력정책국·재생에너지정책관·수소경제정책관·자원산업정책국·원전산업정책국·원전전략기획관 등 7개 세부 조직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석유·가스 등 '자원 산업'과 '원전 수출' 정책 기능을 맡아온 자원산업정책국과 원전전략기획관은 산업부에 남고 나머지 에너지 정책 기능은 신설되는 기후부로 옮겨간다.
새로 출범한 기후부는 2차관 4실 체제로 하부 조직은 4국·14관, 63과로 편성된다. 조직 개편에 따라 산업부에서는 지난주 부처 이동 혹은 잔류 관련 수요 조사를 진행했고 218명이 기후부로 이동하게 됐다.
이와 관련해 산업부 관계자는 "90% 이상 현직이고 기존에 에너지 관련 업무를 하지 않던 인력은 15명 안팎"이라고 말했다.
우려 속 승진 기대감도…1년 미만 경력자도 20명
조직 개편과 관련해 산업부 일각에선 '향후 에너지 정책에 대해 전문성을 담보할 수 있느냐'는 의구심이 제기된다.
국민의힘 김성원 의원실이 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인사이동 현황에 따르면 비(非)이관 대상 부서 근무 경력이 절반 이상인 직원은 143명(5급 104명·6급 이하 39명)이다. 상당수는 에너지 관련 업무 경험이 많지 않다. 가뜩이나 기후부의 전문성에 물음표가 붙은 상황이어서서 우려의 시선이 없지 않다.
산업부의 10% 넘는 인력이 한꺼번에 다른 부처로 옮겨가는 것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당초 에너지 기능을 쪼개 다른 부처로 이관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여전하다.
우리나라에서 에너지 정책이 산업 정책과 분리되는 것은 1993년 상공부와 동력자원부가 합쳐져 상공자원부가 만들어진 이후 32년 만에 처음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맡은 바 일을 열심히 한다는 생각으로 가지만, 재생에너지를 강조하는 기후부에서 산업부 인력이 가는 데 대한 우려나 아쉬워하는 마음이 클 수밖에 없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반면 매머드 조직으로 탈바꿈한 기후부에서 승진 기회를 더 빨리 잡을 수 있다는 기대감도 감지된다. 산업부는 기획재정부에 이어 5급 고시 합격자가 가장 많이 배치된 부처로 꼽힌다.
반면 기후부 전신인 환경부는 고시 출신 배치가 줄어드는 추세였던 만큼, 산업부에서 옮겨간다면 사무관급 승진이 더 빨라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