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韓 야구 황금세대 총집결' 추신수-이대호 등 1982년생들, 오승환 은퇴식 현장 방문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추신수(오른쪽) 등 1982년생 야구인들이 30일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와 KIA 타이거즈 경기를 방문해 은퇴식을 앞둔 오승환(가운데)을 축하하고 있다. SSG 랜더스추신수(오른쪽) 등 1982년생 야구인들이 30일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와 KIA 타이거즈 경기를 방문해 은퇴식을 앞둔 오승환(가운데)을 축하하고 있다. SSG 랜더스
'끝판 대장'의 은퇴에 1982년생 동갑내기 황금 세대들도 현장을 찾았다. 한국 야구의 전성기를 이끈 황금 세대들이다.

추신수, 이대호, 김태균, 정근우, 김강민, 이동현(빠른 1983년생), 채병용, 박재상, 김백만, 채태인 등 1982년생 은퇴 선수들은 30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를 찾았다. '2025 신한 SOL 뱅크 KBO 리그' KIA-삼성의 경기와 함께 삼성 오승환(43)의 은퇴 경기가 열린 장소다.

SSG 추신수 구단주 보좌역은 구단을 통해 "(오)승환이의 마지막 순간에 친구들이 모두 모여 축하해주면 뜻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면서 "각자 제2의 인생을 살고 있지만 오늘 하루만큼은 추억을 나눌 수 있어 감회가 남다르다"고 전했다. 이어 "처음 제안은 이대호와 김태균이 했다"면서 "무엇보다 승환이의 은퇴를 진심으로 축하한다"고 밝혔다.

프로야구가 출범한 1982년에 태어난 선수들의 활약으로 한국 야구는 황금기를 구가했다. 2006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3위), 2008 베이징올림픽(금메달), 2009 WBC(준우승), 2010 광저우아시안게임(금메달), 2015 프리미어12(우승) 등이다. 소속팀에서도 이들은 맹활약하며 프로야구 중흥을 이끌었다.

추신수(왼쪽에서 다섯번째) 등 1982년생 야구인들이 30일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와 KIA 타이거즈 경기를 방문해 은퇴식을 앞둔 오승환(가운데)을 응원하고 있다. SSG 랜더스추신수(왼쪽에서 다섯번째) 등 1982년생 야구인들이 30일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와 KIA 타이거즈 경기를 방문해 은퇴식을 앞둔 오승환(가운데)을 응원하고 있다. SSG 랜더스

그러나 세월의 무게 속에 이들도 선수 생활을 접기 시작했다. 2020시즌 중 김태균이 은퇴를 발표했고, 정근우는 2020시즌 뒤 유니폼을 벗었다.

2022년에는 이대호가 은퇴 투어를 치렀고, 롯데의 영구 결번(10번) 선수로 남았다. 고교 졸업 뒤 메이저 리그(MLB)로 진출했던 추신수는 2021년 한국으로 돌아와 2022년 SSG에서 프로 인생에 첫 우승을 차지했다. 지난 시즌 뒤 은퇴해 정용진 SSG 랜더스 구단주 보좌역으로 출발했다.

올해는 마지막으로 오승환이 지난달 은퇴를 발표했다. 오승환은 이날 아내, 30개월 아들과 함께 시구 행사에 나섰고, 경기 후에는 은퇴식을 치른다. 오승환의 은퇴로 KBO 리그 최고령 선수는 1983년 2월 8일생인 두산 좌완 불펜 고효준이 될 전망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