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 2차 회의…내년 로드맵 준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내년 예산에서 AI 기반 복지·돌봄 혁신 투자 강화

연합뉴스연합뉴스
보건복지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복지·돌봄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복지부는 10일 오후 서울과 세종을 영상으로 연결해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TF)' 제2차 회의를 열고 2026년 예산과 로드맵 수립 방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이스란 제1차관 주재로 열렸으며 △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정보원 △중앙사회서비스원 △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인재원 △건강보험공단 등 관계 기관이 참석했다.

특히 이번부터는 AI 복지 전문인력 양성과 현장 종사자의 디지털 이해도 제고를 위해 보건복지인재원이, 복지용구 사업 혁신 논의를 위해 건보공단이 새로 참여했다.

정부는 2026년 예산에서 AI 기반 복지·돌봄 혁신 투자를 대폭 강화했다. △AI 복지상담과 위기감지 △돌봄 수요자의 가정·사회복지시설에 AI 적용 등을 위한 시범사업에 59억 원 △복지·돌봄 분야 AI 제품의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AX-Sprint에 300억 원을 신규 반영했다.

추진단은 이 예산을 마중물로 삼아 현장과 소통하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조기에 내겠다는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보건사회연구원과 함께 기초 연구를 진행하고, 각 반별 핵심 과제와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다.

이스란 복지부 1차관은 "AI 기술의 발전이 취약계층을 포함한 사회 전체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도록 이끄는 것이 보건복지부의 역할이자 소임"이라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제들을 신속하게 발굴·추진하면서 AI와 사람이 조화되는 사회 기반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