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대 제공경남대학교는 지난 13일 본교에서 '트럼프 2기 출범과 동북아 정세 변화 전망 및 3국의 대응'을 주제로 일본 소카대학(Soka University), 대만 중국문화대학(Chinese Culture University)와 함께 '2025 평화포럼'을 열었다.
포럼에서는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에 따른 동북아 정세 변화 전망과 3국의 대응이 주요 내용으로 다뤄졌다.
박재규 경남대 총장은 이날 개회 인사를 통해 "이번 포럼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변화하는 국제정세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한국, 일본 및 대만의 시각을 진솔하게 교류하며 동북아 평화를 위한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회"라고 말했다.
'한국 정부의 동북아 정책 제언: 대북정책 중심으로' 주제
최영준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국제협력실장이 이 주제를 발표하고 타마이 히데키(Tamai Hideki) 일본 소카대 부총장, 웨이지아인(Wei Chia-Yin) 대만 중국문화대학 교수의 토론으로 진행됐다.
최영준 실장은 "남북 간 심리전 중단, 기존 합의사항 준수, 대화채널 복원 등의 실천 조치가 필요하다"며 "강대국과의 외교에서 남북 관계를 균형있게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타마이 히데키 부총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복귀, 북한의 한국에 대한 정책변화, 미중러 간의 관계변화 등이 동북아시아의 전략적 균형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요소"라고 분석했다.
웨이지아인 교수는 "한국의 새로운 정부를 위한 동북아 정책 제안이 양안 관계(중국-대만)에 대한 교훈이 되며 동북아시아의 안보와 경제 이익에도 기여 한다"고 평가했다.
'미중러 관계 변화 전망 및 일본의 대응' 주제
코이데 미노루(Koide Minoru) 일본 소카대 교수가 이 주제를 발표하고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로저 S. 첸(Roger S. Chen) 대만 중국문화대학 교수의 토론으로 진행됐다.
코이데 미노루 교수는 "중국의 미국에 대한 체계적 경쟁자로의 부상, 러시아의 중국에 대한 전략적 의존 증가, 특히 트럼프 행정부 아래에서의 워싱턴의 변동하는 글로벌 약속은 일본의 전후 외교를 뒷받침했던 안정성을 집단적으로 붕괴시켰다"고 분석했다.
임을출 교수는 "미중러 전략 삼각관계의 변화와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성 속에서 공통된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한미일 3자 협력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로저 S. 첸 교수는 "트럼프 하의 미국 정책이 여전히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일본의 선택은 다가오는 몇 년 동안 그 자체의 안전뿐만 아니라 인도-태평양 지역의 더 넓은 균형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양안 관계 변화 전망 및 대만의 대응' 주제
장지아춘(Chang Chia-Chuen) 대만 중국문화대학 교수가 이 주제를 발표하고 이상만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초빙교수, 조나단 럭허스트(Jonathan Luckhurst) 일본 소카대 교수의 토론으로 진행됐다.
장지아춘 교수는 "대만해협 조기경보체계 구축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연구는 양안 갈등의 미래를 예측하려는 것"이라며 "실증 분석을 통해 미국·중국·대만의 전략적 행위를 시뮬레이션하며 갈등 전개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상만 교수는 "미중 전략경쟁과 양안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현재의 동북아 안보지형 속에서 이런 시뮬레이션 기반의 예측 모델은 정책결정자와 학계 모두에게 실질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조나단 럭허스트 교수는 "대만해협 긴장 상황에 대한 위기관리를 위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면서도 "인공지능(AI)과 대형언어모델의 사용은 유용하지만 불완전한 정보와 불확실성의 효과로 인해 왜곡에 취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경남대와 일본 소카대, 대만 중국문화대는 동아시아 평화연구 활성화 및 3개국 간 학술교류 증진을 위해 2017년부터 매년 돌아가며 '평화포럼'을 개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