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현대차그룹 "향후 4년간 미국에 31조원 규모 투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트럼프 출범이후 한국 기업중 첫 대규모 투자
트럼프발 '관세 전쟁'에 대응 차원의 투자
서배너 공장, 생산 역량 연 120만대로 상향
루이지애나주에 연 '270t' 규모 제철소 건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연합뉴스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연합뉴스
현대자동차그룹은 24일(현지시간) "향후 4년간 210억달러(약 31조원) 규모의 대미 신규 투자를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이날 백악관에서 진행된 투자 발표회에서 "자동차 생산 분야 86억 달러, 부품·물류·철강 분야 61억달러, 미래 산업 및 에너지 분야 63억 달러의 대미 투자를 오는 2028년까지 이어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현대차그룹의 이번 발표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국 기업 가운데에서는 처음으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내놓은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오는 26일 준공하는 조지아주 서배너의 '현대차그룹 메타 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생산 역량을 20만대 끌어올려 미국에서 연간 120만대 이상의 자동차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또한 루이지애나주에 연간 270만t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해, 여기서 나온 자동차 강판으로 미국내 공장에서 생산될 차량용 철강재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미래 산업 및 에너지 분야에서는 자율주행, 로봇, 인공지능(AI),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미래 신기술과 관련한 미국 유수의 기업과 협력하는 한편, 현대차그룹 미국 현지 법인인 보스턴 다이내믹스, 슈퍼널 등의 사업화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강화학습 기반의 지능형 로봇 개발에 집중하고, 슈퍼널은 2028년 AAM 기체 상용화를 목표로 미국과 무인 항공기 테스트 협업을 추진한다. 
 
현대차그룹의 이번 신규 투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하고 있는 '관세 정책'에 대응한 측면이 강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달 2일 각국의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까지 감안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할 예정이고, 자동차·의약품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도 "머지 않은 미래에 부과할 것"이라고 누차 강조해왔다. 
 
특히 미국 정부는 지난 12일부터 수입산 철강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물리고 있다. 한국이 적용받던 '무관세 쿼터제'도 폐지됐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