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트럼프 보호무역의 파고 속 부산항…"일본·중국 공략해야"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KMI 보고서: 부산항, 10년간 성장세 반토막
"환적항 부산, 일본·중국 물동량 확보와 터미널 혁신 필요"
BPA "부산항, 올해 2500만 TEU 달성 목표"

부산항 신항 전경. 부산항만공사 제공부산항 신항 전경. 부산항만공사 제공

트럼프 2기 보호무역주의…부산항의 생존 전략은?

트럼프 2기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글로벌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세 둔화 속에서 부산항이 성장 정체와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최근 발표한 '부산항 물동량 유치 방안 연구'에서 부산항이 일본과 중국 시장을 공략하고, 신항 터미널 운영을 통합하는 등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부산항의 성장 정체: 10년간 증가세 둔화

KMI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항의 물동량 증가율은 2004~2013년 연평균 4.9%에서 2014~2023년 2.4%로 절반 이상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출입 화물 증가율도 11.2%에서 1.5%로 급락했다.
 
현재 부산항은 세계 7위 컨테이너 항만이자 세계 2위 환적항만으로, 전체 물동량의 94.4%가 컨테이너 화물이며, 이 중 53.6%가 환적화물이다.
 
그러나 북항과 신항의 이원화된 운영 체계로 연간 약 20만 TEU의 물동량 이동이 발생하는 비효율성과 글로벌 물류 시장의 변화가 맞물리며 경쟁력 약화가 우려되고 있다.
 
KMI 항만정책·운영연구실 김은우 박사는 "부산항은 현재 신항의 7개 터미널이 분산 운영되고 있어 운영 효율성이 저해되고 있다"며 "이를 개선하지 않으면 환적항으로서의 경쟁력이 더욱 약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본·중국 공략과 터미널 혁신, 부산항의 해법

 KMI는 부산항의 성장 정체를 타개하기 위한 세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일본 환적화물 유치 확대다.
 
일본 전체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 중 부산항 환적 비중은 10.2%에 불과하다. 규슈 등 일본 서안 지역의 신선 화물과 긴급 화물을 대상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면 고부가가치 물동량을 유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 박사는 "부산항은 일본 서안 지역과의 지리적 근접성을 활용해 환적 물동량을 확대할 수 있다"며 "특히 신선 화물과 긴급 화물을 중심으로 일본 시장 점유율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물류 수요를 공략하는 것이다.
 
알리바바 본사가 있는 저장성과 이우 소상품 시장 등 전자상거래 클러스터와 부산항 물류망을 연계해 소량 다품종 화물을 처리하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마지막으로, 신항 터미널 통합 운영을 통해 물류 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한다.
 
현재 7개 터미널로 분산된 체계를 물리적 연계성이 높은 터미널 중심으로 통합함으로써 운영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단기 기회와 중장기 도전의 공존

트럼프 2기 보호무역주의는 부산항에 단기적인 기회와 중장기적인 도전을 동시에 안겨줄 것으로 보인다.
 
부산항만공사(BPA)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미국 수출입 증가를 기회로 삼아 물동량을 늘릴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한다"며 "일본과 중국 시장 공략, 터미널 통합, 그리고 해상특송 기반 확충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부산항은 이러한 전략적 대응을 통해 올해 목표인 2500만 TEU 달성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제주항공 참사'로 희생된 이들을 추모합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