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출산은 기쁨으로 돌봄은 다함께

배우자 가구 첫 감소…맞벌이 가구는 600만 돌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막내자녀가 6세 이하인 가구 중 맞벌이 비중 처음으로 50% 넘어

통계청 제공통계청 제공
지난해 배우자가 있는 가구의 수는 사상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지만, 맞벌이 가구는 오히려 늘어서 600만 가구를 돌파했다.

또 육아 중에도 일자리를 유지하는 경우도 늘어서 막내자녀가 신생아나 영유아인데 맞벌이를 하는 가구 비중이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을 살펴보면 배우자가 있는 유배우 가구는 1268만 7천 가구로 전년보다 4천 가구 줄었다. 유배우 가구가 감소한 일은 이번이 처음이다.

반면 이 가운데 맞벌이 가구는 26만 8천 가구나 늘어난 611만 5천 가구로, 처음으로 600만 가구를 돌파했다. 유배우 가구 중 맞벌이 가구 비중도 48.2%로 전년보다 2.1%p 늘었다.

가구주 연령을 기준으로 보면 맞벌이 가구 비중은 30~39세(58.9%), 50~59세(58.0%), 40~49세(57.9%) 순으로 높았고, 모든 연령층에서 전년보다 증가했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유배우 가구는 409만 5천 가구로 2만 6천 가구나 감소했다. 반면 이 가운데 맞벌이 가구는 232만 6천 가구로 12만 9천 가구 증가했고, 미성년 자녀가 있는 유배우 가구 중 맞벌이 가구가 차지한 비중도 3.5%p나 올랐다.

막내자녀 연령별로 보면 맞벌이 가구가 7~12세 87만 6천 가구, 6세 이하 81만 8천가구, 13~17세 63만 2천 가구 순으로 많았다. 유배우 가구 대비 맞벌이 가구 비중은 13~17세(62.6%)에서 가장 높았고, 7~12세(58.6%), 6세 이하(51.5%)가 뒤를 이어 막내자녀의 나이가 어릴수록 육아 부담이 커 맞벌이 비중이 낮았다.

특히 맞벌이 가구 비중은 전년대비 6세 이하 3.9%p, 13~17세 3.1%p, 7~12세 3.0%p씩 모두 상승했다. 6세 이하 막내자녀가 있는 가구 중 맞벌이 가구 비중이 50%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의 육아기 노동 지원 정책이 효과를 발휘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경기 상황이 악화돼 더 많은 소득을 얻기 위해 일을 놓지 않은 결과라고도 볼 수 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자녀 수로 보면 자녀가 1명일 때와 2명일 때 유배우 가구 대비 맞벌이 가구 비중은 각각 57.2%, 57.0%로 큰 차이가 없었고, 3명 이상인 경우 53.1%로 비교적 낮았다. 이 역시 자녀 2명(3.7%p), 자녀 3명이상(3.5%p), 자녀 1명(3.3%p)로 지난해보다 크게 늘었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 역시 전년보다 2.1시간 증가했다. 남자 42.6시간, 여자 35.5시간으로 전년대비 각각 2.2시간, 1.9시간 증가했다.

맞벌이 가구 중 함께 사는 동거 맞벌이 가구는 530만 2천 가구로 전년대비 17만 8천 가구 증가했지만, 맞벌이 가구 중 비중은 86.7%로 1.0%p 하락했다.

주로 농업, 임업 및 어업(77.6%), 숙박 및 음식점업(67.4%)에서 부부가 같은 산업에 종사하는 동거 맞벌이 가구가 많았는데, 이런 가구의 비중 자체는 35.2%로 0.4%p 하락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예전에는 부부가 함께 농사를 짓거나 식당 등을 운영했다면, 이제는 서로 다른 일을 하는 부부가 늘어났다는 얘기"라며 "주로 지방의 고령 여성들이 농사 대신 공공일자리 등 보건복지업에 취업한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한편 1인 가구는 738만 8천 가구로 16만 4천 가구 증가했고, 이 중 취업가구는 467만 5천 가구로 12만 가구 늘었다. 1인 가구 중 취업 가구 비중은 63.3%로 0.2%p 올랐다.

성별로는 남자 261만 가구, 여자 206만 5천 가구로 전년대비 각각 6만 가구씩 증가했다. 취업 가구 비중은 남자는 전년과 같은 70.6%, 여자는 0.4%p 늘어난 55.9%였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기대수명이 높기 때문에 1인 가구 중 고령 여성 1인 가구가 많아 취업 가구 비중은 남자가 더 높다.

연령별로 보면 1인 취업 가구는 30~39세 109만 가구, 60세 이상 106만 6천 가구, 15~29세 90만 7천 가구 순이었다. 취업 가구 비중은 30~39세(87.4%), 40~49세(82.7%)에서 높았는데, 증가폭은 60세 이상(1.7%p), 50~59세 이상(1.4%p), 40~49세(0.3%p) 순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높았다.

임금 수준으로 보면 200~300만 원 미만이 34.0%, 300~400만 원 미만 24.8% 순으로 높았고, 전년대비 추이를 보면 400만 원 이상(2.5%p), 300~400만 원 미만(1.1%p) 순으로 비중이 상승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