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반짝 관심'이 더 슬픈 재난 이재민…필요한 지원책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재난 이후 이재민들은⑤]
재난 업무담당 공무원 전문성 '강화'해야
민관 협력 필수…빠른 회복·복구 돕는다
재해구호 서비스 한계…조직 육성 '중요'

최근 2년 동안 강원 동해안 지역에서는 각종 재난·재해가 잇따랐다. 지난 2019년 4월 4일 대형산불에 이어 그해 10월 태풍 미탁까지 발생했다. 화마에 휩쓸리고 강한 비바람에 할퀸 마을 곳곳은 큰 상처가 남았다. 후유증은 여전하다. 강원영동CBS는 재난 이후 이재민들의 삶을 조명하는 연속 기획을 마련했다. 여전히 재난이 발생했던 '그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재민들의 아픔을 들여다보고, 온전한 일상복귀를 위해 필요한 지원책은 무엇인지 짚어보려고 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컨테이너에서 보낸 2년…"여기 아직 사람이 살고 있어요"
②태풍이 휩쓸고 간 삼척 어촌마을…피해민들 고통 '여전'
③재난 전·후 정신질환 경험 '6.2배' 증가…자살 시도까지
④배상금 지연에 주민 간 갈등도…더딘 일상으로의 복귀
⑤'반짝 관심'이 더 슬픈 재난 이재민…필요한 지원책은
(끝)


2년째 임시컨테이너 생활을 하는 고성 산불 이재민 정희훈씨가 혹시나 또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비해 짐꾸러미를 챙겨놨다며 보여주고 있다. 유선희 기자

 

처음 재난이 발생한 직후 이재민에게 쏟아진 관심은 그 집중도 만큼이나 빠르게 소모된다. 그 때문에 재난 이후 이재민들이 느끼는 박탈감과 소외감은 더 크다. 온전한 일상복귀를 위해 촘촘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강원 동해안 지역에서는 1년에 한 번은 꼭 물난리와 불 난리가 나지만, 그 규모도 천차만별이어서 대응 매뉴얼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성지역에서는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 연속 산불이 이어졌다. 지난 2018년 산불 이후 이재민이 모두 5가구 발생했는데, 2019년에는 대형산불로 고성군에서만 이재민 506가구가 발생했다. 그다음 해에는 주택 1가구만 피해가 났다.

전 고성군 주민복지실장 고광선 씨는 "이재민이 많이 발생하지 않을 때는 이재민 관리부서에서 다 담당했는데, 대규모로 피해가 날 경우 그에 따라 조립주택은 건설도시과에서 분담하는 등 대응 체계도 달라진다"며 "매뉴얼대로 적용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지난 2019년 발생한 고성·속초 대형산불 현장. 유선희 기자

 

이어 "매뉴얼이 있어도 민원이 한꺼번에 쏟아지면 공무원들도 우왕좌왕하게 된다"며 "재난구호 업무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전담 공무원을 선발할 필요가 있고, 경험을 축적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주는 것과 함께 전문재해구호 교육을 이수하도록 지원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고광선 전 실장은 "성금 배분에서도 일반 성금과 달리 지정기탁 성금은 이재민 규모에 따라 지역별로 가구당 지급되는 금액에 차이가 나 재난 지원에 불만을 제기하는 분들이 있다"며 "재난 발생 시 지정 기탁 제도에 대한 정비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같은 산불이나 태풍 피해 발생이어도 유형이 달라 이재민들 역시 항상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빠른 회복·복구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중간역할이 중요하고, 더 나아가 민관 협업이 필요하다는 조언도 나온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