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는 인구구조. 2060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비중이 40%를 넘게 된다.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지난해 중위인구 연령이 40.8세로 높아졌고, 2031년부터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 한 가족의 기준으로 삼는 ‘4인 가구’를 이제는 찾아보기가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평균 가구원 수가 2.7명으로 줄어들었고, 1인 가구 비중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3일 공개한 ‘2015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총 인구는 5062만명으로 집계됐다. 아직까지는 인구가 증가추세(0.38%)에 있지만 우리나라의 인구는 2030년 5216만명으로 정점에 도달한 뒤 2031년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시작할 전망이다.
우리나라 인구를 한 줄로 늘어놓았을 때 가장 가운데 있는 사람의 연령, 즉 중위연령은 2000년에 31.8세로 30세를 넘은 뒤, 2014년에 40세를 넘었고, 지난해에는 중위연령이 40.8세로 더 높아졌다. 15년 만에 중위연령이 9살이나 많아진 셈이다. 그리고 25년 뒤인 2040년에는 중위연령이 50세를 넘어 52.6세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저출산과 관련이 깊은데, 지난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24명으로 2014년보다는 0.03명 더 많아졌다. 그러나 인구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합계출산율인 2명에는 턱없이 못 미치는 수치다.
이에따라 한 가족의 기준으로 삼는 ‘4인 가구’도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1980년에는 평균 가구원 수가 4.8명에 달했으나 2000년에는 3.1명으로 줄어들었고, 2010년에는 2.7명으로 아예 3명도 채우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결혼 시기는 점점 늦어져 1990년에는 각각 27.8세와 24.8세였던 남녀의 초혼연령이 2014년에는 32.4세와 29.8세로 대략 5년 정도 늦춰졌다. 결혼에 대한 인식도 바뀌어, 결혼을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08년 68%에서 2014년 56.8%로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이에따라 결혼을 미루며 독립해 혼자 사는 가구가 늘어나고, 노인들도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1인 가구 비율은 2010년 인구총조사 때 이미 23.9%를 기록했다. 거의 4집 중 1집 꼴로 1인 가구가 있는 셈이다.
늦은 결혼과 저출산 등 지금의 추세가 계속된다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지난해 13.1%에서 2030년에는 24.3%로 높아질 전망이다. 급기야 2060년에는 노인 인구가 40.1%로 불어날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렇게되면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80.6명의 노인을 부양해야하는 시대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노년부양비는 17.9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