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戰 빛난 김무성 순발력, 朴대통령에 '잽' 계속 날릴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국회선진화법·반(反)상향식 공천…'권력자' 구도에 가둔 기민함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무대(김무성 대장)’의 뚝심이 친박(親朴·친박근혜)계와의 ‘공천전쟁’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4·13 총선 공천에서 상향식 경선 원칙을 관철한 데 이어, 최근 논란이 된 ‘권력자’ 발언으로 친박계에 ‘한방’을 먹이고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두들겨도 참고만 있던 예전 스탠스와 비교하면 확실히 변했다. 김 대표를 관찰해온 새누리당 의원들도 “무대가 변했다”는 반응이다.

기조 변화의 배경에 김 대표 특유의 순발력이 발휘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회선진화법에 대한 반대 기류와 친박계의 경선 반대 흐름을 ‘권력자’라는 공통 키워드로 교묘히 묶는 기지가 있었다.

◇ ‘권력자 VS 국민’ 구도, 친박계에 ‘한방’

‘권력자’ 발언은 돌출행동이라기보다 평소 소신을 굽히지 않고 드러낸 결과로 보인다.

김 대표는 친박계 맏형 서청원 의원과의 전당대회 맞대결을 앞뒀던 2014년 6월에도 이미 ‘권력자’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낸 바 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국회선진화법을 들고 나왔을 때 상당수 의원이 ‘이거 말도 안 된다’고 반대가 많았다”며 “그런데 어떤 양반이 ‘찬성한다’고 하니까 싹 다 붙었다. 그래서 (법안이) 통과된 것”이라고 지적했었다.

과거 발언 중 ‘어떤 양반’을 ‘권력자’로 치환하면 지난 26일 문제제기와 똑같아 진다. 당시 김 대표는 “그래서는 안 된다. 그리고 공천 문제, 정당개혁 문제를 꼭 (해결하겠다)”고도 공언했었다.

권력자가 국민의 뜻을 거슬러 잘못된 법안의 처리를 주도하거나 공천에 있어 전횡을 행사해서는 안 된다는 문제의식이 급조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최근 여야 경색정국 때문에 국회선진화법의 문제점이 다시 부각되자, 때를 놓치지 않고 ‘권력자 대(對) 국민’ 구도를 다시 끄집어냈다. 이 구도는 국민에 선택권을 주는 상향식 공천의 명분을 강화하는 쪽으로 작동됐다.

◇ “소신 굽히지 않고 싸울 때 싸우는 점이 변화”

가장 큰 변화는 “박 대통령을 겨냥하는 것이냐”는 친박계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김 대표가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김 대표는 박 대통령이 자신에게 반박하려는 눈치가 보이면 언제 그랬냐는 듯 먼저 고개 숙여 사과하곤 했다. 정권 초반 개헌 발언이 역풍을 맞았을 때, 지난해 ‘유승민 파동’ 당시, 안심번호제도에 대한 비판이 나왔을 때 등 항상 먼저 굽힌 쪽은 김 대표 측이었다.

하지만 이번엔 분위기가 다르다. 지난 27일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서청원·김태호 등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집중포화를 가했지만 김 대표는 물러서지 않았다.

이 같은 김 대표 스타일에 대해 한 측근 의원은 “치고 빠지는 식의 아웃복싱을 구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 대표가 처음에는 밀리는 듯 싸우지만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르는 식으로 끈적끈적하게 상대방을 흔든다는 것이다.

공천 룰을 정하는 과정에서도 안심번호가 벽에 부딪혀 공천제도특별기구를 만들 때만 해도 계파 구성에서 비박계가 밀리는 듯 보였지만, ‘경선 원칙’ ‘일반국민 참여비율 확대’ 등 김 대표가 원하는 것 대부분이 관철됐다.

한 비박계 의원은 “김 대표가 지금까지 자신의 뒤를 따른 동료의원들의 기대를 주로 저버려 왔던 게 사실이지만, 최근엔 신뢰를 많이 회복하는 단계까지 온 것 같다”고 평가했다.

◇ 朴과 당분간 대립 피할 듯...“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案 수용 가능”

하지만 더 이상 박 대통령과 각을 세우는 모습은 피하려 할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박 대통령이 아직 30%의 ‘콘크리트’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반면, 김 대표는 10%대로 주저앉았다. 김 대표가 총선과 대선을 자신의 ‘얼굴’만으로 치르기는 어렵다.

때문에 김 대표의 측근 인사는 30일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박 대통령과 갈등을 빚고 싶은 마음도 없고, 그럴 이유도 찾기 어렵다”고 말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