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저는 유서를 대필하지 않았습니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사진=SBS 제공)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이번에는 강기훈 유서대필사건의 전모를 밝힌다.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이미 두 차례 강기훈 씨의 유서대필사건을 방영했다. 제작진은 24년에 걸친 치열한 추적 끝에 사건 관계자들의 생생한 증언과 필적감정을 확보했고, 드러나지 않은 진실을 파헤쳤다.

◇ 스물다섯 청년의 분신자살, 진실은 무엇인가?

1991년 5월 8일, 거리는 한 남자의 분신자살 소식으로 연일 소란스러웠다. 당시 모 대학교 캠퍼스에서 한 청년이 불에 탄 주검으로 발견된 것이다. 가족과 친구들은 그의 분신자살을 쉽사리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그도 그럴 것이, 불과 두 달 전까지만 해도 그는 여자 친구와 가족들에게 결혼을 이야기하는, 미래를 꿈꾸던 청년이었기 때문이다.

사망한 김기설 씨의 여자친구 홍 씨는 "춘천에서 저녁식사를 하면서 저에게 '우리 결혼합시다'라고 했다. 그 날 (마지막) 통화에서는 사랑한다고 했다"고 회상했다.

가족들은 김 씨의 죽음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현장에서 발견된 유서 두 장의 필적이 숨진 아들의 글씨가 아니라고 했다. 실제로 가족이 제출한 김 씨의 필적은 한 눈에 보기에도 유서의 필적과는 달라보였다. 가족의 진술을 토대로 검찰은 김 씨의 죽음을 밝히기 위한 대대적인 수사에 착수하였고, 주변인들의 필적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뜻밖의 문서를 입수했다.

◇ 대한민국을 뒤흔든 유서대필사건의 탄생

김 씨의 사망 후 6일 째 되던 날, 검찰은 김 씨의 유서와 비슷해 보이는 필적을 발견했다. 그것은 김 씨의 지인 강기훈 씨가 과거 경찰에 연행되었을 때 작성했던 진술서의 필적이었다.

검찰은 즉각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두 문서의 필적감정을 의뢰했고 결과는 놀랍게도 두 사람의 필적이 일치한다는 것이었다. 검찰은 이를 토대로 강 씨에게 사전구속영장을 신청하였고, 이 사건은 5월 18일 언론에 '강기훈의 유서대필사건'으로 대서특필되며 당시 대한민국을 뒤흔들었다.

강 씨는 당시 법정에서 "저는 유서를 대필하지 않았다. 다른 사람은 얘기를 못해도 저는 그렇게 이야기 할 수 있다. 검찰이 조작했다"고 진술했다.

(사진=SBS 제공)

 

숨진 김 씨와 강 씨는 재야단체인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의 사회부장과 총무부장이었다. 강 씨의 유서대필사건이 보도되면서 그들의 지인과 전국 각지의 재야단체 관계자들은 보관하고 있던 그들의 필적을 공개했다.

검찰은 사건 발생 5일 후, 과거 김 씨가 근무했던 군부대까지 방문하여 그의 필적을 수집해갔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검찰이 입수한 필적자료들의 행방은 점점 묘연해졌다는 것이다.

◇ 검찰의 완벽한 수사인가, 조작된 진실인가?

당시 김 씨를 포함한 젊은 청년들의 연이은 분신자살에 정치권과 언론에서는 분신정국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서강대 박홍 총장은 김 씨의 분신자살 직후 "지금 우리 사회에는 죽음을 선동하는 어둠의 세력이 있다"며 기자회견을 열었고, 이를 계기로 김 씨의 분신자살은 배후 세력이 선동한 죽음으로 탈바꿈, 연일 뉴스 1면을 장식했다.

그러나 김 씨의 분신자살을 종용하고 방조했다는 혐의로 구속된 강 씨는 끝까지 자신의 결백을 주장했다.

4

2

전체 댓글 1

새로고침
  • NAVER쌈닭2025-02-12 03:12:32신고

    추천1비추천0

    횡단보도를 4거리 교차로에서 좀 떨어져서 설치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직좌 신호에서 직진하는 차량과 우회전 차량이 같이 있는 우측차선에서 직좌 신호를 오래 기다리던 우회전 차량들이 급하게 빠져 나가려고 하는데 동시에 켜진 횡단보도 파란불 때문에 차선도 밀리게 되고, 급한 마음에 우회전 하는 차량들이 깜박하고 횡단보도 신호를 못 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횡단보도 우회전 사고는 꽤 자주 일어나는데, 좀 귀찮더라도 횡단보도를 사거리 교차로에서 좀 떨어뜨려 놓으면 많이 개선될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