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에 원전까지…불량 소방기기 납품 업체 붙잡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숭례문 등 국보급 문화재는 물론 원자력발전소에까지 불량 소방기기를 납품한 업체가 경찰에 덜미를 잡혔다.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소방방재기기인 불꽃감지기를 불량품으로 제조해 납품한 혐의(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등)로 K사 대표 김 모(60) 씨 등 2명을 구속하고 5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3일 밝혔다.

불꽃감지기란 적외선, 자외선 등의 파장을 센서로 감지해 화재 여부를 식별하는 감지기를 말한다.

김 씨 등은 2012년 4월부터 지난 7월까지 2만 3,000여 대의 불량 불꽃감지기를 생산·설치해 190여억 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이들이 생산한 불량 제품은 영광, 울진, 고리 등 주요 원자력발전소뿐 아니라 2008년 화재 이후 재건된 숭례문에도 설치돼 충격을 주고 있다.

이 외에도 쌍계사 등 국보급 문화재 및 사찰, 국회의사당, 학교, 병원, 박물관 등 국가 주요시설과 인구 밀집시설 2,500여 곳에 설치됐다.

2006년부터 경기도 성남시 분당에서 소방방재업체를 운영하던 김 씨는 소방산업기술원의 검사에서 리모컨을 이용해 출력 전원을 조작하는 수법을 사용했다.

또 2012년 7월 리모컨 조작 수법이 적발된 후에는 검정용 감지기를 따로 생산하는 수법으로 바꾸어가며 계속 불량품을 제조·납품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실제 납품하는 불꽃감지기는 외장은 같지만, 내부 부품을 구형 또는 싸구려 부품으로 교체해 납품해왔다.

실제 경찰이 K사에서 압수한 455대 중 123대만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등 불량 상태가 심각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소방방재청에서 생산제품검사를 받고 출고되면 이후 이를 관리 감독하는 제도적 장치가 별도로 없을 뿐 아니라, 한 번 감지기를 설치하면 실제 불이 날 때까지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을 악용했다.

경찰 관계자는 "가격이 저렴한 불량 제품을 이용해 다른 회사의 3분의 1 수준 가격으로 판매했다"며 "이들이 불꽃탐지기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하는 바람에 전국 주요 시설에 불량 불꽃탐지기가 널리 퍼지게 됐다"고 밝혔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