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韓, 핵잠 보유로 자주 국방력 강화…中자극 가능성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서 의장대를 사열하는 모습.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서 의장대를 사열하는 모습.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과 정상회담 직후 건조를 승인하겠다고 밝힌 핵추진 잠수함 보유는 역대 한국 정권의 오랜 염원이었으나, 중국을 자극할 우려도 있다는 외신 분석이 30일 나왔다.

이 대통령은 전날 경주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원자력을 동력으로 하는 핵추진 잠수함과 관련해 "연료를 우리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결단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디젤 잠수함은 잠항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북한이나 중국 측 잠수함에 대한 추적 활동에 제한이 있다"며 미군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한국에 핵추진 잠수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국이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밝혔다.

마이니치신문은 이 대통령이 핵추진 잠수함을 도입하려는 배경과 관련해 "북한이 핵무기 고도화를 이어가는 가운데 세계에서도 보유국이 한정된 핵추진 잠수함을 보유해 국민의 안심감을 높이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핵추진 잠수함 개발·보유는 (한국) 보수·진보 진영을 불문하고 역대 정권에서 검토됐지만, 좌절이 거듭됐다"며 "이재명 정권은 미군 부담 경감을 호소해 '비원 성취'를 도모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한국이 핵추진 잠수함 보유를 통해 국방력을 강화하면 중국을 자극할 수 있다고 산케이는 전망했다.

중국 입장에서는 호주가 중국의 해양 진출 움직임을 염두에 두고 미국과 핵추진 잠수함 도입에 속도를 내는 상황에서, 지리적으로 훨씬 가까운 한국까지 핵추진 잠수함을 보유할 경우 경계감을 높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교도통신은 한국이 핵무기 개발을 지속하는 북한, 잠수함 운항을 강화하는 중국을 겨냥해 미국이 바라는 자주 국방력 강화를 추진하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핵추진 잠수함은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내각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교도통신은 "한미의 움직임은 일본의 핵추진 잠수함 논의에도 영향을 미칠 듯하다"고 관측했다.

만일 일본까지 핵추진 잠수함을 보유한다면 중국 측 반발이 한층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