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내 나래마루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마친 뒤 회담장을 나서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미국과 중국이 부산에서의 정상회담을 통해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 등 일부 현안을 정리하면서 9개월간 이어온 양국간 무역전쟁이 일종의 휴전 상태로 전환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를 유예하고, 펜타닐의 미국 유입 차단에 협조하기로 했다. 수입을 중단했던 미국산 대두도 구입하기로 했다.
이에 미국은 중국에 적용했던 '펜타닐 관세'를 20%에서 10%로 즉각 낮추기로 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내년 4월 중국을 방문하고 이후에는 답방 형태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을 찾기로 했다.
앞서 양국 정상은 30일(한국시간) 부산 김해공항 나래마루에서 약 100분간 정상회담을 가졌다.
회담 후 곧바로 귀국길에 오른 트럼프 대통령은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에게 "10점 만점에 12점이었다"며 " 우리는 훌륭한 회담을 가졌고 많은 부분에 합의했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특히 전 세계가 주목했던 희토류 문제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희토류 문제는 해결됐다"며 "이와 관련된 모든 장애물은 한동안 우리 어휘에서 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 대표도 "우리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초점을 맞췄고, 중국은 공급을 유지하기로 했다"며 "이는 매우 중요하다"고 거들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대두 등 미국산 농산물을 즉각 구매할 것"이라며 "전날 시 주석이 이를 승인했는데, 이를 높이 평가한다"고도 했다.
미국에서 농산업계는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의 주요 지지 기반이다. 앞서 중국은 미국과의 관세 전쟁 와중에 미국산 대두 수입 중단 조치를 내렸고, 트럼프 대통령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이를 철회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여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중국측의 양보에 대한 대가로 '펜타닐 관세'를 절반으로 인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펜타닐의 미국 유입을 방조하고 있다고 보고 두 차례에 걸쳐 10%씩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양국은 이번 정상회담에 앞서 열었던 고위급 회담에서 더 이상의 확전은 자제하자는 취지의 타협점을 찾은 바 있다. 여기서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를 1년간 유예하고, 미국은 중국에 부과하기로 한 100% 추가 관세를 철회하는 중재안이 도출됐다.
한국에서의 미중 정상회담에서는 이를 양국 정상이 공식화했다는 의미가 있다.
양국 정상이 짧은 만남 동안 발등에 불이 떨어진 '무역 사안'에 한정해 논의를 이어가면서, '대만 문제'는 언급조차 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양국 정상은 내년에 상대국을 방문하기로 하는 등 대면 접촉면을 늘리기로 뜻을 모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4월쯤 중국에 갈 것"이라며 "시 주석도 그 이후 플로리다주 팜비치 또는 워싱턴에 답방을 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급한 불을 끄는데 합의한 양국 정상이 향후 상호 방문을 통해 굵직한 현안들을 직접 타결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은 지난 2019년 오사카에서 열린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서 만난 지 약 6년 4개월만에 한국에서 얼굴을 맞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