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순사건이 반란인가? " 국감서 전북경찰청 게시물 잇따라 비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여야 의원들 "여순사건은 반란이 아닌 국가폭력…전북 경찰 사과해야"
정춘생 혁신당 의원 "피해자 향한 2차 가해"…김철문 청장 "제대로 검토 후 수정"

지난 20일 전북경찰청 1층 역사관의 게시물. 여순사건으로 수정된 게시물 이외에도 여전히 반란을 암시하는 문구가 눈에 띈다. 심동훈 기자지난 20일 전북경찰청 1층 역사관의 게시물. 여순사건으로 수정된 게시물 이외에도 여전히 반란을 암시하는 문구가 눈에 띈다. 심동훈 기자
국가의 부당한 명령을 거부한 군인을 공산당으로 몰아 집단 학살한 여순사건을 여순반란으로 표기해 놓던 전북경찰청이 국정감사에서 잇따른 질타를 받았다.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8일 열린 전북경찰청 국정감사에서 "전북경찰청 역사관에 여순사건이 좌익 세력의 반란과 소요라는 세 가지 단어로 규정돼 있다"며 "여순사건을 국가 권력이 민간인을 부당하게 학살당한 국가 폭력이기에 전북 경찰은 시정하고 유가족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도 "여순반란을 여순사건으로 단어만 바꿔놓고 '개선중'이란 표식만 해 놓는 것은 눈가리고 아웅이다"며 "반란이란 단어도 문제이지만 게시물 전반을 살펴보면 민간인 학살을 경찰의 성과라며 자랑하고 있는 내용이 많다"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국가 폭력에 희생된 피해자 유가족들이 여전히 계시고 진상 규명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여순사건을 반란으로 표기한 전북경찰청의 태도는 2차 가해를 한 것이다"라며 "사과로 끝날 문제가 아니라 제대로 된 역사 기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질의하는 정춘생 의원. 연합뉴스질의하는 정춘생 의원. 연합뉴스
앞서 전북경찰청사 1층 역사관에 여순사건을 '여순반란'으로 표기해놓은 전북경찰청은 지난 8월 27일 CBS노컷뉴스의 지적 이후 '여순반란'이란 단어를 '여순사건'으로 수정했다.
 
그러나 첫 문제 제기 후 약 3개월이 지났음에도 '좌익세력의 반란과 소요' 등 여전히 여순사건이 반란임을 암시하는 표현을 방치해 놓은 채 게시물 검토를 위한 자문기관 섭외조차 하지 않아 경찰의 수정 의지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잇따른 지적에도 "좌익세력의 반란과 소요라는 표현이 여순사건만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라고 답했던 전북 경찰은 국정감사가 이뤄지기 일주일 전쯤 해당 게시물을 '개선중'이라고 적힌 천으로 가려놨다.
 
의원들의 질의에 김철문 전북경찰청장은 "의원들의 말씀을 새겨서 제대로 된 검토 후 수정하겠다"고 밝혔다.

국정감사 일주일 전 '개선중'이란 파란 천으로 덮어둔 전북경찰청 1층 역사관 게시물. 앞서 전북경찰은 "좌익 세력의 반란과 소요라는 표현이 여순사건만을 의미하는게 아니다"라고 답변한 바 있다. 심동훈 기자국정감사 일주일 전 '개선중'이란 파란 천으로 덮어둔 전북경찰청 1층 역사관 게시물. 앞서 전북경찰은 "좌익 세력의 반란과 소요라는 표현이 여순사건만을 의미하는게 아니다"라고 답변한 바 있다. 심동훈 기자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