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도 "캄보디아 취업사기 조심"…수년 전부터 '경고'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외무성, 접경지에 '도항 중지 권고' 발령
日언론 "한국·베트남 피해 잇따라" 조명

캄보디아 프놈펜에 위치한 프린스그룹 본사. 연합뉴스캄보디아 프놈펜에 위치한 프린스그룹 본사. 연합뉴스
한국인을 겨냥한 캄보디아 내 대규모 사기 범죄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웃나라 일본 역시 수년 전부터 '캄보디아 취업 사기'를 경고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외무성 해외 안전 홈페이지에 따르면 일본은 캄보디아와 태국의 접경지 일부 지역에 '도항 중지 권고'를 내렸다. 나머지 지역은 '충분한 주의'가 필요한 상태로 분류했다.

외무성 위험 정보는 위험도 순으로 △충분한 주의 △불필요한 도항 중지 △도항 중지 권고 △대피 권고를 발령하는데, 캄보디아 접경지에 두 번째로 높은 위험 경고를 내린 것이다.

그 배경으로는 일본인을 노린 캄보디아발 취업 사기가 지목됐다.

외무성은 "최근 '해외에서 단기간에 고수익', '간단한 번역 작업' 등 좋은 조건의 일이 있다며 외국행을 권유하고 있다"며 "캄보디아 도착 직후 여권과 연락 수단을 빼앗은 뒤 외출을 제한한 감금 상태에서 전화 사기 등 불법 행위에 종사하게 하는 사안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피해자와 가해자가 외국인인 사례가 적지 않다"며 "지인 등의 소개로 캄보디아 취업을 검토하고 있다면 근무처 신용도, 안전 확보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캄보디아 일본대사관 역시 3년 전부터 유사한 내용으로 경고했다.

그럼에도 캄보디아 취업사기 사건은 계속되고 있다. 지난 7일 아이치현 경찰은 일본인 29명을 관리하며 전화 사기 범죄를 저지른 중국인 2명을 구속했다. 이들은 캄보디아 북서부 포이펫에서 아이치현에 거주하는 일본인에게 전화를 걸어 경찰이라고 사칭해 500만엔(약 4730만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

일본 언론은 캄보디아에서 범죄에 가담했다가 구금됐던 한국인 64명이 송환된 사건도 조명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한국인 학생이 캄보디아 사기 조직에 납치·살해된 것으로 드러났다"며 "중국인 범죄 조직 거점이 확산하는 동남아시아가 다시 특수사기 문제로 불안정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한국인과 베트남인이 구인 정보에 속아 감금 상태에 놓이고, 일본인이 피해 보는 사례도 적지 않다"며 "하루 12시간 이상 전화와 소셜미디어로 사기를 강요하고 기준을 채우지 못하면 폭력을 가했다는 증언도 잇따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