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쿠팡, 수입식품으로 3조 원 벌고도 농어촌상생기금은 '0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국내 이커머스 6곳, 수입산 유통으로 4조 5천억 매출
하지만 FTA 피해 농어촌 지원하는 상생기금 출연은 전무
서삼석 의원 "상생 책임 외면하고 있는 현실 안타까워"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 의원실 제공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 의원실 제공
국내 주요 온라인 유통사들이 수입산 식품 유통으로 막대한 이익을 내면서도, FTA로 피해를 입은 농어업 지원을 위해 조성된 농어촌 상생기금에는 한 푼도 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이 유통하는 가공식품 원재료의 3분의 2가 수입산인 상황에서 쿠팡, SSG닷컴, 네이버 등 주요 온라인 유통사들이 상생 책임에는 나서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실이 국내 주요 이커머스 사업자 6곳(쿠팡·네이버·11번가·SSG·G마켓·옥션)으로부터 제출받은 '2024년 식품 매출액' 자료를 분석한 결과, 쿠팡은 지난해 수입산 식품류에서만 매출액 3조1518억원을 기록해 업체들 중 가장 많은 돈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SSG닷컴 1조3532억원 △네이버 671억원 △11번가 215억원 △G마켓 30억원 △옥션 9억원으로, 지난해 이들 이커머스 사업자가 수입산 식품 유통으로 올린 매출은 총 4조5978억원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농림축산식품부가 제출한 '농어촌상생기금 납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6개 이커머스 사업자는 그동안 단 한 차례도 농어촌 상생기금을 납부하지 않았다.

연합뉴스연합뉴스
농어촌상생기금은 '자유무역협정(FTA) 농어업법'에 따라 FTA로 피해를 입거나 피해가 우려되는 농어업·농어촌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17년 조성된 자율 출연 기금이다. 해당 기금은 올해 8월 기준 224개 민간기업과 134개 공기업·공공기관이 참여해 모두 2780억2천만원의 기금을 조성했다.

특히 올해는 고속도로 휴게소를 운영·관리하는 주요 기업 5곳(CJ프레시웨이·SK에너지·SPC·코오롱엘에스아이·풀무원)도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출연에 동참했다. 호두과자와 우동에 사용되는 원재료가 100% 수입산이라는 의원실 지적에, 수입산 원재료를 가공·판매해 이익을 얻는 휴게소 운영업체까지 출연에 나선 것이다.

서삼석 의원은 "국민이 소비하는 식품의 3분의 2가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유통하며 이익을 얻는 이커머스 기업들이 상생의 책임을 외면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농어촌 상생기금은 단순한 기부가 아니라 FTA 체제 속에서 농어민과 산업이 함께 생존하기 위한 최소한의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