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SNS 차단에 격분한 시위 격화…총리 사임까지 번져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19명 사망·의사당 난입·방화"…SNS 차단 뒤늦게 철회

연합뉴스연합뉴스
네팔에서 정부의 SNS 차단과 부패에 항의하는 시위가 격화되며 19명이 숨지고, 총리가 사임했다.

로이터통신과 네팔 영문 일간지 히말라얀 타임스 등에 따르면 샤르마 올리 총리는 9일(현지시간) 사임 의사를 밝히고, 람 찬드라 포우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비정상적인 상황을 고려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포우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총리의 사임서를 수리하고 후임 총리 선출 절차에 돌입했다.

올리 총리는 지난해 7월 네번째 총리 임기를 시작했지만, 1년 2개월 만에 물러났다. 네팔은 의원내각제로 총리가 행정수반이며, 대통령은 의전상 국가 원수직을 수행한다.

시위는 정부가 지난 5일부터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엑스(구 트위터) 등 당국에 등록되지 않은 SNS 26개의 접속을 차단하면서 촉발됐다. AP통신은 이 조치를 "온라인 공간에서 이용자들의 발언을 제한해 인터넷 자유를 위축시키는 현상의 일부"라고 보도했다.

이에 분노한 시위대는 수도 카트만두에 내려진 통행금지령을 무시하고 총리실 인근에서 항의 시위를 벌였으며, 국회 의사당에 난입하고 일부 정치인의 자택에 방화를 저질렀다.

AP통신은 포우델 대통령, 레카크 내무부 장관의 자택은 물론, 아르주 라나 데우바 외무장관 부인의 사립학교도 불에 탔다고 전했다. 이날 오후에는 올리 총리 자택도 시위대 방화로 불에 타 검은 연기가 치솟는 영상이 SNS에 퍼졌다. 카트만두 공항도 시위 사태로 폐쇄됐다.

시위대 수만명은 카트만두에서 "소셜미디어가 아닌 부패를 척결하라"는 구호를 외쳤고, 일부는 경찰 바리케이드를 뚫고 의회 난입을 시도하거나 구급차에 불을 지르기도 했다. 경찰은 최루탄을 비롯해 물대포와 고무탄을 쏘며 진압을 시도했다.

정부는 전날 유혈 사태로 19명이 사망하자, 진상 조사를 지시했다. 올리 총리는 심야 성명을 통해 "정부는 SNS 사용을 중단하길 원하지 않으며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할 것"이라며 "시위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보름 안에 조사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사태가 확산하자 라메시 레카크 내무장관을 포함한 장관 4명도 사임했다고 스페인 EFE 통신은 보도했다.

결국 네팔 정부는 이날 SNS 차단 조치를 철회했다. 프리트비 수바 구룽 네팔 정부 대변인 겸 통신정보기술부 장관은 "(현재 SNS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네팔은 2008년 왕정을 폐지하고 연방공화국으로 전환했지만, 정국 불안이 지속되며 지금까지 총리만 14번 바뀌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